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바로크 시문학의 음악성과 자율성 - 필립 폰 하르스되르퍼의 의성어 시편을 중심으로 (Die Musikalität der deutschen barocken Poesie und deren Autonomie am Beispiel der lautmalerischen Dichtungen Philipp von Harsdörff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5
28P 미리보기
독일 바로크 시문학의 음악성과 자율성 - 필립 폰 하르스되르퍼의 의성어 시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1권 / 71호 / 161 ~ 188페이지
    · 저자명 : 장제형

    초록

    유럽 맥락에서 민족어와 민족문학의 성립이란 중세 보편어인 라틴어로부터 개별 민족어로의 ‘해방’, 분화 및 민족어의 자기발전이라는 역사적 과정을 배경으로 한다. 이는 르네상스와 휴머니즘이라는 수세기에 걸친 사상사적 변혁의 장구한 흐름을 토대로 하여, 특히 독일의 경우 종교개혁을 주요한 계기로 삼게 된다. 인쇄술의 발전이라는 당대의 매체 혁명을 통해 광범위하게 보급된 독일어 성경은 민중들로 하여금 판독 불가능한 라틴어가 아니라 일상 언어인 독일어로 번역된 신의 말씀을 통해 신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가능케 하는 주요 매개체가 된다. 이렇게 오직 말씀 sola scriptura을 통해 정초된 신과 인간 간의 직접적이고도 내적인 관계는 트뢸취가 칭한 “종교적 개인주의”(Vgl. Troeltsch 1924)의 형성을 가능케 한 주요 동인이 됨으로써, 그간 라틴어로 된 성경에 대한 신학적 해석의 독점권을 행사한 가톨릭교회의 권위를 의문시하게 만든다. 이렇게 본다면 종교적 영역에서 싹트기 시작한 개인으로의 분화와 자기 정립이란, 라틴어로부터 해방되어 스스로를 정립하기 시작한 독일어라는 개별 민족어의 분화 과정과 그 궤를 같이하게 된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ie Bedeutung der Musikalität in den lautmalerischen Dichtungen Georg Philipp Harsdörffers (1609-1658), dem Begründer und Ordenspräsidenten der Nürnberger Sprachgesellschaft Pegnesische Blumenorden, zu ergründen. In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des Barock des 17. Jahrhunderts zeichnen sich die Nürnberger vornehmlich durch ihre enge Zusammenarbeit zwischen den Komponisten und den Literaten und deren daraus resultierenden musikalisch gestalteten Dichtungs- praktiken aus. Dabei ist zunächst die Musikalität der dichterischen Sprache – wie es bei den bekannten barocken Autoren üblicherweise der Fall war – in der naturalistischen Sprachauffassung fundiert: die Verbindung zwischen Sprache und Welt wird von der Natur (phýsei) begründet. Als herausragendes Medium galt dabei die deutsche Sprache, die Natur vor allem in sich treu übertragen und abbilden kann. Demnach wird konsequenterweise die lautmalerische Dichtung zur typischen Gattung, die diese naturalistische Seite der Sprache vorzüglich literarisch zum Ausdruck bringt. Betrachtet man die konkrete Operationsweise der Dichtungen jedoch einmal genauer, kommt die Funktionalität der poetischen Sprache erst durch die autopoietisch operierende Selbststrukturierung der äquivalenten Sprachlaute zur Geltung. Parallel zu diesem Befund wird dann die Bedeutung der Musikalität der poetischen Sprache dahin gehend uminterpritiert, dass sie nicht in der aus der von außen gegebenen transzendenten Dimension zu begründen ist, sondern vielmehr als Ergebnis und Effekt der sich immanent und souverän operierenden Sprachprozessierung betrachtet wird. Damit ist eine derartige Konstitution des selbsttätig operierenden poetischen Sprachsystems als eine Vorwegnahme der Kunstautonomie zu verstehen, auf deren Realisierung man in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noch bis zum Ende des nächsten Jahrhunderts warten muss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