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 관점에서 본 형제단 설립자 르제호르시의 교회론 (A Missiological Reading of the Ecclesiology of Řehoř, the Founder of the Unity of the Brethre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06
32P 미리보기
선교적 관점에서 본 형제단 설립자 르제호르시의 교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60호 / 215 ~ 246페이지
    · 저자명 : 이종실

    초록

    “교회의 본질로서의 선교” 또는 “선교적 교회의 선교”에 대한 논의가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구체적 실천의 과정에서 여전히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이 글은 형제단의 설립자 르제호르시의 교회론이라할 수 있는 “거룩한 교회에 대하여” 그의 저술을 통해 초기 형제단의 교회와 그 실천을 통해 교회 본질로서의 선교의 길을 찾아보려고 한다.
    형제단은 그 명칭에서 “교회”라는 용어 대신 “단”(Jednota, Unitas) 즉일치(Unity)를 사용하였다. 구원을 위한 믿음, 소망, 사랑은 그리스도와 연합을 이루게 하는 본질적 요소이다.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지체들의 연합이 교회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와 그의 말씀과 공동체적 규약에 대한 순종은 멤버들이 일치를 이루게 하며, 그러한 일치가 곧 교회를 의미한다.
    동서교회의 분열 이후 신성제국 변방의 보헤미아에서 로마교회의 교계제도(Hierarchy)에 의해 계급론으로 변질된 교회론은 결국 신자들 개인의 구원 문제까지 타락시켰다고 생각한 보헤미아 개혁그룹은 로마교회로부터 분리한 첫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세우게 되었다. 그들은 거대한 중세기독교 세계(Christendom)에서 아주 보잘것없는 미비한 존재들이었지만, 소량의 누룩이 밀가루 반죽 전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복음을증언하는 모범적 생활 공동체로 로마교회에 저항하였다. 그래서 형제단에게 믿음과 선행은 분리할 수 없는 개념들이었다.
    이러한 형제단의 신앙 유산은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선교 운동의 결과로 등장한 에큐메니컬 운동에서 다시 발견된다. 선교적 상황에서 분열된 기독교회의 모습은 비정상적이다. 신앙과 직제 운동(Faith and Order Movement)이 가시적 교회의 조직적인 일치를 위해 시작된 논의가 유기적일치의 논의로 발전하다가, 생활과 봉사 운동(Life and Work Movement)과 결합하면서 “일치”가 코이노니아 개념으로 바뀌어 간다. 이때 일치는선교(선행)와 분리할 수 없는 초기 프로테스탄트의 신앙 전통임을 발견하게 된다. 다시 말해, 선교 활동들이 교회 일치의 방향성을 가질 때,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또는 “교회의 본질로서의 선교”의 개념이 더분명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Despite active discussions of “Mission as the Nature of the Church” or of the “Missional Church”, it is not clear as to how such theory can be applied. For this reason, this essay seeks to find a way to the mission as a crux of the church by examining the ecclesiology and its application found in “Of the Holy Church (O církvi svate)” by Řehoř, the founder of the Unity of the Brethren (Jednota bratrská, Unitas Fratrum).
    The Unity of Brethren replaced the term “church” with “Jednota(Unitas, Unity)”. The three core elements - faith, hope and love enable the body of the church to be united with Christ as its head. The church is the union of the parts of the body. Thus, members of the church unite by way of obeying Christ, His words and the subsequent communal statutes. Such unity defines the church.
    The reformists in Bohemia saw that the Roman Church had been corrupted by her hierarchy. They also saw that the hierarchy had warped the issue of personal salvation. Thus, they separated from the Roman Church and founded the first Protestant church, after the split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hurches. While the Protestant church had close to no significance among the mediaeval Christendom, they believed in generating a change. As a small amount of yeast would change the entire dough, they grew into a community of believers who testified the gospel through their faith and exemplary lives. For this reason, faith and works became integrated aspects among the members of the Unity of the Brethren.
    Later in the 19th century, the legacy of the Unity of the Brethren re-emerged in the form of ecumenical movement ensuing the Protestant missionary movement. From the standpoint of missionary work, divided churches appeared to be senseless. The Faith and Order Movement first began the discussion for the structural unity of the visible church. Then it further developed into the discussion of the organic unity which combined with the Life and Work Movement. Finally, the idea of “unity” has transformed into that of koinonia. To reemphasize, the “Missional Church” or “Mission as the Nature of the Church” will take a clearer form when the missionary works are directed towards the unity of the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