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하 따히르 소설 속의 1967년 아랍 이스라엘 전쟁 (1967 Arab Israeli War in Bahā’ Ṭāhir’s Nov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2
17P 미리보기
바하 따히르 소설 속의 1967년 아랍 이스라엘 전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 / 24권 / 1호 / 123 ~ 139페이지
    · 저자명 : 박재원

    초록

    바하 따히르가 1967년 전쟁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첫째, 소설이라는 형식이다. 소설은 픽 션이고 상상의 산물이므로 굳이 밝히지 않아도 사건과 작중인물 은 실제가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바하 따히르는 『나의 이모 싸 피야와 수도원』 속 표지에서 “소설의 사건과 인물, 지명 등은 상 상의 산물이며 현실의 그것과 유사하다면 순전히 우연일 뿐이다” 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발언은 소설의 허구성을 강화함으로써 현 실과 한층 더 거리를 두기 위한 장치에 다름 아니다. 둘째, 소설에서 서사의 주체는 텍스트 내의 화자이지 작가가 아 니다. 작가는 소설의 화자나 인물과 거리를 둠으로써 자신의 입장 을 가릴 수 있다. 셋째, 『나의 이모 싸피야와 수도원』의 화자는 나이 어린 일인칭 화자(경험자아)이며, 그는 겉으로 드러난 외형 의 보고자적 서술에 만족한다. 그는 또한 자신의 세계관이 생기기 전의 어린이이므로 인물과 사건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지 못 하는 게 자연스럽다. 작가는 성숙한 성인 화자(서술자아)의 것으 로 추측할 수 있는 서술을 어린 화자에게 떠넘김으로써 선택적으 로 사건과 작가 간의 거리를 멀게 할 수 있다. 넷째, 작가는 서술 대상의 선택에서 자유롭다. 검열이든 판매고 때문이든, 민감한 사 안의 서술을 은밀하게 회피할 수 있다. 다섯째, 비유법이나 상징, 아이러니 등 우회적인 언어를 선택하여 대상을 간접 방식으로 서 술할 수 있다. 바하 따히르가 『나의 이모 싸피야와 수도원』에서 사용한 소 설적 기교들은 결국 서술 대상으로부터 최대한 거리를 두고, 작가 자신의 목소리를 숨기기 위한 장치이다. 이것은 최고권력자와 군 을 비판하면 안 된다는 검열제도를 용인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1967년 전쟁에 대한 직접적 언급을 회피하는 것은 바하 따히르 가 스스로 말한 자기검열의 일종이다. 이집트에서 1960년대를 살면서 그 사회의 내막을 지켜본다는 것 자체가 정치 행위이다. 바하 따히르는 정치에서 탈피하여 순수 하고 새로운 문학을 원했고, 정치적인 주제를 회피하려 했지만 정 작 자신은 정치적으로 친 낫세르, 반 사다트 노선에 묶여 있었다. 1967년 전쟁을 정면으로 마주하기를 거부하고 무슬림 주민(이슬 람)과 수도사(기독교)가 사이좋게 지내던 시절을 내세우며 종교 간의 화합과 관용을 찬양한다고 해서 전쟁의 정치적 의미를 축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바하 따히르는 지식인으로서 사회적인 책임은 다하겠지만 그것 이 정치는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문학은 정치 이다. 전쟁 또한 그 여파가 국가와 국민 전체에 미치게 되는 고도 의 정치행위이다. 문학이 본래 정치적이기 때문에 그의 모든 소설 은 정치적이었다는 역설이 가능하다. 소설을 쓰면서 검열을 피할 수 없다면 정치 또한 피할 수 없다. 그의 탈정치는 정치를 회피하 기 위한 노력이며, 그것은 사회적 책임을 지닌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Article aims at surveying the image of 1967 Arab Israeli war as shown in Bahā’ Ṭāhir’s Novel, with special reference to Khālatī Șafīyah wa-lDayr(1991). War is a political process that causes many-folded influences on the relevant society. In view of its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 lot of Arab novelists used to adopt the 1967 war as a main subject of their works, and it contributed to achieve abundant fruits in literary sphere. The 1960s’ generation of Egyptian writers will be the ideal case. It was expected that Bahā’ Ṭāhir deals with the war themes in his works of novel, particularly the one that covers Egyptian society in 1960s. However, the writer did not mention about the war except a few times in Khālatī Șafīyah wa-l-Dayr, and it came with lesser importance. I came to a conclusion that writer’s political beliefs have an effect on his choice of subject, narrator and the way of presenting events. Bahā’ Ṭāhir’s Nasserist ideology and diverse forms of censorship that were exerted in Egyptian cultural arena, and the author’s unpolitical stance were at the background of the treatment of 1967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랍어와 아랍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