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미학의 형성과정과 샤를르 르 브룅의 회화 규범 (The Space of the French Artist,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Formation Process of the French Classicism Aesthetics and Charles Le Brun’s Canon of Ar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02
30P 미리보기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미학의 형성과정과 샤를르 르 브룅의 회화 규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44호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신상철

    초록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의 종신 감독관이자 루이 14세 궁정의 수석화가였던 르 브룅이 활동했던 17세기 프랑스 미술계는 중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몽테뉴의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서 비롯된 근대적 합리주의 정신이 확립되던 이 시기 미술의영역에서는 이탈리아 화단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프랑스 미술의 독자성이 수립되기 시작했다. 1648년 설립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는 이러한 변화의 구심점이었다. 왕립 아카데미 설립을 주도했던 샤를르 르 브룅은 아카데미를 통해 프랑스 작가들에게 미술의 기본 법칙과 조형 기법을 전수하고자 했다. 그의 목표는 프랑스 예술의 보편적 법칙과 규범을 수립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예술 창작 과정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르 브룅은 프랑스의 동시대 화가들에게 역사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회화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가독성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예술적 독창성이나 진정성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였다. 그는 회화의 가독성은 시각적 기호에 의해 형성된다고믿었다. 따라서 회화를 구성하는 시각적 기호는 정확하게 표현되어야만 했으며 이러한그의 생각은 과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감정표현 기법을 만드는 토대가 되었다. 르 브룅에게 예술적 표현은 인간이 인지하고 경험한 것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감정의 원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궁극적인의미에서 그림 속 환영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서사적 구조를지닌 역사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르 브룅의 회화규범은 이론과 실천을 동시에 강조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그의 방침은 자신이 감독하고 있었던 왕립 아카데미를 통해 17세기 프랑스 화단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The 17th century which Charles Le Brun, the first painter of King Louis XIV and director of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worked in artistic field actively, was a time of great changes in the French art world. That period was the time to have established the modern rationalist spirits derived from the philosophical quest for the ego of Montaigne and in the artistic area it began to be established, the uniqueness of the French art outside from the influence of the Italian art world.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founded in 1648 was the cornerstone of these changes. Charles Le Brun, who had played the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Royal Academy, had a strong will to educate the basic rules of art and the techniques of formative arts to the French artists through the Academy. His main goal was to set down the universal norms of ar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the canons of France arts, ultimately which, should be said, was to introduce the fundamental rules in creative arts courses.
    In a way of specifying his plan, Le Br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paintings to contemporary French painters. Placing emphasis on the history paintings, he highlighted the manner of delivering and demonstrating convincingly the fundamental subjects which the history paintings universally would imply. He placed stress on the exact mathematical ratios, geometric laws and anatomical details in realizing the individual elements and the overall compositions of the painting. With standing on his belief, he built up the proper foundation of his own geometric systems for producing history paintings. Le Brun was strongly convinced that readability valued most frabjously in the field of paintings, as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the creativity and authenticity in artistic view. He considered the readability of paintings should be formed by well performed visual signs, which accordingly led to the foundations of properly expressing ones emotions grounded on the scientific basis of geometry and anatomy to produce a well-proportioned outcomes. Painting norms proposed by Le Brun is consistent with pointing out the significances of the theory and practice should be well balanced equally,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becoming the main policy that had enormous influences on the French art world through the Royal Academy in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