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공연예술의 연극성 및 수행성 - 피나 바우쉬의 탄츠테아터와 자비에 르 르와의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Theatralität und Performativität in der Performance Art der Moderne - anhand des Tanztheaters von Pina Bausch und der Performance von Xavier le Lo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4.06
20P 미리보기
현대공연예술의 연극성 및 수행성 - 피나 바우쉬의 탄츠테아터와 자비에 르 르와의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카프카학회
    · 수록지 정보 : 카프카 연구 / 31호 / 159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숙경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일곱 차례 초청공연을 가진 바 있는 독일 부퍼탈 Wuppertal 극단의 공연작들을 중심으로 컨버전스 형태로 관객과 만나고 있는 공연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피나 바우쉬가 생전에 자신의 안무 컨셉을 가지고 무대에 올렸던 대표작으로는 <봄의 제전 Das Frühlingsopfer>(1975), <카페 뮐러 Café Müller>(1978), <매음굴 Kontakthof>(1978/2000/2008), <보름달 Vollmond>(2006) 한국을 다시 찾은 부퍼탈 극단은 최근 LG아트센터(2014.3.28-31)에서 피나 바우쉬가 극단 단원들을 위해 구상하고 무대에 올렸던 <보름달>을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역동적인 무대였으나, 간결하면서도 가감이 필요 없을 정도의 완결성을 드러내는 피나 바우쉬의 구현방식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아 그녀의 부재를 느끼게 한 공연이었던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을 들 수 있다. 빔 벤더스는 2009년 타개한 피나 바우쉬의 공적을 기리며 부퍼탈 탄츠테아터의 주요 공연작 4편을 3D영상에 담은 뉴 로드 무비 <피나 Pina>를 2011년 2월 13일에 선보였다. 독일, 프랑스, 영국이 제작에 참여한 합작영화로 공연예술, 영상예술, 최첨단 테크놀로지가 융합된 영화이다. 61회 베를린영화제 비경쟁부분 독일영화상(베스트 다큐 Bester Dokumentarfilm), 24회 유럽영화상(유럽영화아카데미 다큐멘터리상)의 영예를 안았다.
    마찬가지로 유럽에서 주목받고 한국에서 공연한 바 있는 자비에 르 르와의 퍼포먼스 <미완성의 자아 Self unfinished>(1998/2003)도 필자가 주목하는 공연물이다. 이 공연물들은 현대공연예술의 주요 화두라 할 수 있는 몸과 물질성에 대해 성찰하게 하는 유용한 사례들이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변화를 거듭하면서 확장일로에 있는 ‘연극성’과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창궐한 이래 더욱 주목받아온 ‘수행성’ 개념을 짚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dieser Arbeit liegt mein Anliegen zuerst darin, die Tendenz der Performance Art in der Moderne, vor allem seit den 1990er Jahren, zu diagnostizieren. Die Performance Art dieser Zeit überhaupt ist gekennzeichnet durch Fusionierung. Zum Beispiel nähert sich das postdramatische Theater durch die Darstellung der Gebärden einer Performance, die einem Ereignis und einer Geste des Selbstausdrucks nahe liegt. Performance hingegen wird dadurch theatralisiert, dass sie durch die Ebene der Zeit die Realität erweitert und einen zeitlichen in einen theatralen Prozess umwandelt.
    Gegenstand der Untersuchung sind einige repräsentative Tanztheater von Pina Bausch, wie etwa Das Frühlingsopfer, Café Müller, Kontakthof, Vollmond, und Xavier le Loys Performance Self unfinished. In der Tanzgeschichte waren dies bedeutende Wendepunkte, die neue Horizonte eröffnet haben. Sie erschüttern das gewöhnte Wahrnehmungssystem des Publikums und lassen es die Aufführungen auf eine neue Art anschauen und sinnlich erleben. Dabei geht es nicht um einzelne Verknüpfungen von Bezeichnendem und Bezeichnetem, sondern darum, eine Weise bzw. Haltung zu betrachten, wie Bedeutungen hervorgebracht werden.
    Dramaturgisch gesehen benutzt Pina Bausch starke Kontraste, wobei Licht und Dunkelheit, Lärm und Ruhe, Langsamkeit und Schnelligkeit wechselhaft erscheinen. Außerdem werden heterogene Elemente bzw. Faktoren wie Wirklichkeit und Kunst, Körper und Dinge, Material und Gedächtnis gleichzeitig gezeigt, die aufeinanderzuprallen scheinen. Auch das alltägliche Leben wird auf der Bühne zu einem ästhetischen Ereignis, und das Publikum erlebt eine poetische Realität. Die TänzerInnen im Wuppertaler Tanztheater sind übrigens nicht nur der Gegenstand der Betrachtung, sondern auch Performer, die ihre eigene Geschichte haben, sie zum Ausdruck bringen sowie diesen Prozess genießen.
    Die Aufführung von Xavier le Loy wird als ein der Performance nahestehender Tanz oder Visual Art bezeichnet, wobei der Körper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t. Der Körper selbst wird zum Subjekt des Ausdrucks und assoziert verschiedene fremde Bilder wie Tiere oder Maschinen. In seiner Performance wird die Unterscheidung zwischen einem wahrnehmenden Subjekt und einem Objekt unklar. Hierbei kann das Publikum einen Körper wahrnehmen, der ununterbrochen neu geboren wird.
    Die Aufführungen von Pina Bausch und Xavier le Loy beschäftigen sich mit der Materialität und der Körperlichkeit. Sie veranlassen das Publikum dazu, aktiv daran teilzunehmen, indem sie den subjektiven Eingriff der ChoreografInnen reduzieren. Besonders interessant sind diese Aufführungen deshalb, weil sie zu Reflexionen über die bisher streng verteilten Konstellationen anregen, wie etwa Mann und Frau, das Innere und das Äußere, Leben und Kunst sowie Bühne und Zuschauerraum, Schauspieler bzw. Tänzer und Publikum, und schließlich zum Nachdenken über die eigene Identität füh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카프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