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귀족층의 사망률과 기대여명의 추세; 비교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Trend of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of the Nobility in Koryŏ from Comparative Perspectiv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0.03
24P 미리보기
고려시대 귀족층의 사망률과 기대여명의 추세; 비교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74호 / 129 ~ 152페이지
    · 저자명 : 이상국

    초록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pulation behaviors of the nobility in Koryŏ, focused on computing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and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ountries' cases.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a memorial inscription of the nobility in Koryŏ. They had mainly lived in around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Koryŏ dynasty) for around tenth- to fourteenth-century. Based on Hollingsworth's consideration, I made a 200-year-cohort for investigating fluctuation of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Based on year at birth, each cohort group is: around tenth-to twelfth-century cohort and thirteenth-to fourteenth-century cohort.
    In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nobility in Koryŏ shows one of stable population; the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of the nobility had maintained the similar pattern without any meaningful fluctuation for a given period. And the figures of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Chinese Wang clan and the British peer at the same period as well as the Andong Kwŏn clan Sijun pa. And Life expectancy level of the nobility in Koryŏ falls into Eastern region level 8 in Coale and Demeny’s Regional Life Table. On the basis of the life table, I estimate the life expectancy at age 0; 34.8. It shows the highest level in pre-industrial Korea.
    B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article attempted have a obvious limitation caused by biased data. And I cannot estimate the life expectancy at age 0 for ordinary people in Koryŏ. For that, we cannot help but wait new methodology to overcome problematic biased data.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pulation behaviors of the nobility in Koryŏ, focused on computing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and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ountries' cases.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a memorial inscription of the nobility in Koryŏ. They had mainly lived in around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Koryŏ dynasty) for around tenth- to fourteenth-century. Based on Hollingsworth's consideration, I made a 200-year-cohort for investigating fluctuation of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Based on year at birth, each cohort group is: around tenth-to twelfth-century cohort and thirteenth-to fourteenth-century cohort.
    In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nobility in Koryŏ shows one of stable population; the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of the nobility had maintained the similar pattern without any meaningful fluctuation for a given period. And the figures of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Chinese Wang clan and the British peer at the same period as well as the Andong Kwŏn clan Sijun pa. And Life expectancy level of the nobility in Koryŏ falls into Eastern region level 8 in Coale and Demeny’s Regional Life Table. On the basis of the life table, I estimate the life expectancy at age 0; 34.8. It shows the highest level in pre-industrial Korea.
    B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article attempted have a obvious limitation caused by biased data. And I cannot estimate the life expectancy at age 0 for ordinary people in Koryŏ. For that, we cannot help but wait new methodology to overcome problematic biased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