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교정 굴절이상 유병률 및 관련 요인 분석: 국민건강 영양 조사자료 2008-2012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s among South Korean: KNHANES 2008-2012)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08
7P 미리보기
저교정 굴절이상 유병률 및 관련 요인 분석: 국민건강 영양 조사자료 2008-201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 / 57권 / 8호 / 1287 ~ 1293페이지
    · 저자명 : 강민재, 임형택, 김성수, 대한안과학회 역학조사 위원회

    초록

    목적: 국내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완료한 36,162명의 우안을 기준으로 유병률을 산출했다. 저교정 굴절이상은 시력 교정을 하였을 때, 시력이 나안 시력 혹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때보다 시력이 2줄 이상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직업군별로 저교정 굴절이상의 분율을 제시하고, 사회인구통계학적인 요인과 관련성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총 36,162명의 대상자 중 6,954명이, 40세 이상 19,884명 중 3,980명이 저교정 굴절이상에 해당하였고, 이는 전 연령대상 18.5%, 40세 이상에서 18.8%의 유병률로 추정되었다. 기존의 시력교정기구를 착용하는 군과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을 나누어서 보았을 때,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에서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은 23.1%로 높았다. 4줄 이상 시력 상승을 보인 군은 전체에서 7.2% (2,606)를 차지하였다. 직업군에서는 농업, 어업 등에 종사하는 군과 단순노동자에서 각각 22.8% (570/2,499), 20.2% (497/2,457)로 저교정된 굴절이상의 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를 기준으로 10대와 70대, 80대에서, 여성, 저소득층, 저학력층, 동거인이 없는 경우가 관련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저교정 굴절이상과 고령,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가 관련 있으므로, 이러한 취약층에 대한 공중보건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력 교정을 통한 저시력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Purpose: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d 36,162 participants for estimating prevalence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2).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defined as an improvement of at least 2 lin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ompared with the presenting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by occupation was presented,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evaluated b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mong all participants and among adults was 8.5% (n/N, 6,954/36,162) and 18.8% (n/N, 3,980/19,884),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higher among those with did not wear spectacles or contact lenses (23.1%) than among spectacle or contact lens wearers (8.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gained more than four or more lines of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7.2% (n = 2,606) for the all age group. In terms of occupation,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22.8%, 570/2,499) and laborer (20.2%, 497/2,457)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ge groups of 10s, 70s, or 80s (30s as a reference group), female sex,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level, and living without a spouse were associated with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Conclusions: People of older age, female sex,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This suggests that a public-health approach is needed for preventing visual impairment via proper vision cor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안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