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미술관의 입지 및 이용률에 대한 공간구문론 연구 (A Study on the Space Syntax of the Location and Usage Rate of Children's Art Museum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4.09
13P 미리보기
어린이미술관의 입지 및 이용률에 대한 공간구문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10권 / 9호 / 455 ~ 467페이지
    · 저자명 : 한소원, 김서현, 이행우

    초록

    산업혁명을 통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미술관은 일반적 전시 공간에서 점차 사용자 중심의 포스트 미술관으로 변모되고 있다. 정부는 2000년 이후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미술관이 점차 증설되는 추세이다. 미술관의 증설 및 발전은 어린이미술관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으며, 그 결과 어린이미술관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어린이미술관은 공간인지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어린이가 혼자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크며,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미술관을 대상으로 정량적 분석 방법론인 공간구문론을 통하여 도시위계 분석함으로써 향후 어린이미술관을 설계 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시작된 2000년 이후에 개관하여 현재까지 운영 중인 곳으로, 서울시 내 위치한 어린이미술관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범위는 어린이미술관을 실제 이용하는 이용객 중 어린이와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공간구문론에 입각하여 분석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분석한 어린이미술관의 규모는 소규모로 이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의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어린이미술관의 범위는 대상을 중심으로 어린이 도보를 고려한 반경 1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상 미술관 대부분이 동선 상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 어린이미술관의 분석은 전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를 도출하여 이용률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전체통합도의 값이 높은 축선에 인접한 어린이미술관이 접근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4) 어린이미술관의 이용률은 1 ㎞ 범위 내 지역의 성격이 상업보다 주거가 강한 경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어린이미술관을 대상으로 도시위계적 차원의 공간구문론 분석과 실제 이용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여 유효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대상을 분석했다는 점은 3차원적 분석에 대한 한계를 가지며, 향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With the arrival of various technological innovations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art museums are gradually pivoting from serving as mere exhibition spaces to becoming user-centered “post-museums.” Since 2000, when the government began launching projects to support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number of art museums has gradually increased. Children’s art museums have also garnered growing interest from the public, contributing to this increase. However, these museums pose challenges to children who wish to visit them alone, as their spatial cognitive abilities are limited compared to those of adults. Furthermor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addresses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hierarchy of children’s art museums using space syntax,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to gather essential data for future children’s art museum designs. The analysis focused on children’s art museums in Seoul that opened after 2000 when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providing enhanced suppor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scope was limited to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who visit children’s art museu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ased on space syntax.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All children’s art museum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small, which reflects the specificity of museums targeting children. 2) The scope of analysis was set to a 1 km radius around the center of each museum, which is based on the average walking distance of childre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were no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affic flow. 3) The usage of museums was analyzed by deriving variables such as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Museums adjacent to axis lines with high global integration were shown to be more accessible. 4) The utilization rate of museums in residential areas was higher than in commercial area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mpares the urban hierarchy of children’s art museums based on space syntax with their actual usage in the real world. However, the methodology has limitations in 3D analysis using only space syntax, so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additional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