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to Estimate Body Fat Percentage using Decision-Tree Analysi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09
11P 미리보기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체지방률 추정모형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5권 / 5호 / 675 ~ 685페이지
    · 저자명 : 문준배, 김헌태, 류승호, 강민수

    초록

    체지방률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체지방률 추정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체지방률 추정모형은 복잡한 추정식을 포함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나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체지방률 추정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2009년도 데이터(n = 7,161)를 추정모형 개발을 위한 데이터(80%)와 검증을 위한 데이터(20%)로 나누었다. 개발 단계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측정법(DEXA)으로 측정된 체지방률과 인체계측치 및 건강관련 행태 변인을 이용하여 다수의 추정모형을 개발하였고, 그중 가장 간결하고 낮은 추정 위험도를 가진 모형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추정모형의 정확성은 R2과 평균 제곱근 오차(RMSE)에 의해 평가되었다. 선택된 추정모형은 4개의 변인(성별, BMI, 허리둘레, 나이)을 포함하였고, 총 21개의 끝마디와 5단계 깊이를 가졌다(추정 위험도 = 13.98). 검증 단계에서 추정된 체지방률은 DEXA에 의해 측정된 체지방률과 비교시 73%의 설명력과 4.03%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보였다. 개발된 체지방률 추정모형은 기존의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개발된 추정모형들과 비교시 대등하거나 높은 정확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계산 없이 나무구조로 모형화된 순서도를 따라 매우 쉽게 체지방률을 추정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ody fat percentage(BF%) prediction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most of the prediction models rely on complex equations that may be impractical for everyday use. Therefore, decision tree(DT) analysis was applied to develop a user-friendly model to estimate BF%. Data(age ≥ 19 years; n = 7,161)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divided into 80% training and 20% testing splits. Multiple DTs were construct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measured BF% and anthropometrics and demographics variables in training split. A parsimony DT with the lowest risk estimate was selected. The accuracy of the chosen DT was evaluated by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RMSE) against BF% measured by DEXA in testing split. The best model for estimation of BF% was a DT consisting of 5 levels and 4 predictors(risk estimate = 13.98; # of terminal nodes = 21). BF% estimated by the DT accounted for 73% of the variation in criterion-measured BF% with a RMSE of 4.03%. The new model using DT analysis to estimate BF% had moderate R2 and small RMSE in a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In addition, BF% can be estimated much easier by following the DT map (i.e., flowchart) compared with other equation mod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