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부 농촌여성들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ome Rural Wome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7.01
14P 미리보기
일부 농촌여성들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모자보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 11권 / 1호 / 64 ~ 77페이지
    · 저자명 : 김려화, 김기순, 강명근, 류소연, 이철갑, 박종구, 고상백, 엄애용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량적 초음파법으로 진단한 골다공증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농촌지역 주민들에 대한 골다공증의 예방 교육 자료로 개발과 동시에 향후 전향적인 골다공증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에 거주하는 40~70세 남녀주민을 대상자로 하여 2006년 1월부터 45일간 질병관리본부·유전체 역학 연구사업 일환으로 시행된 건강검진에 응한 986명중 남성 390명을 제외한 596명의 여성을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골다공증 관련요인을 분석할 때는 골감소증(-2.5<골밀도(T-score)<-1.0)으로 판정된 여성 208명을 제외한 3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19.0%였으며, 골다공증 유병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육수준이 무학인 여성에 비해 초졸 여성의 비차비는 0.34 (95%신뢰구간 0.16~ 0.73)이었고 비만도가 25 kg/m2이하인 여성에 비해 비만도가 25 kg/m2 이상인 경우의 비차비는 0.32 (95%신뢰구간 0.15-0.70)이었으며 초경연령이 15세 이하인 여성보다 20세 이후로 초경을 늦게 경험한 여성의 비차비는 4.73 (95%신뢰구간 1.27~17.7)이었다. 결론적으로 골다공증은 연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행태, 체격상태, 초경연령 등이 관련인자이었으며 예방조치를 위한 위험인자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rural women as basic data to develope educational materials to prevent and for longitudinal observatory study.
    Methods: Toward 596 40~70 year old women living in Bongwhang Township, Naju City, Chollanamdo, examinations including quantitative ultrasound (QUS) bone densitometry, questionnaire survey for life-style, anthropologic measurements and blood tests were performed for 45 days from January 9th, 2006. Osteoporosis was defined as T score -2.5 or below and T score -1.0 or above was nominated as normal group. Odds ratios (OR) with 95% confidence interval of osteoporosis group versus normal group were calculated by potential risk facto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significant and dependent related factors.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mong the subjects was 19.0%.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R of osteoporosis among elementary educated group compared to non-educated group was 0.34 (95%CI: 0.16~0.73). The OR of osteoporosis among subjects whose body mass index (BMI) were 25 kg/m2 or more against lower than 25 kg/m2 was 0.32 (95%CI: 0.15~0.70). The OR of osteoporosis among subjects who had started menarche later than 20 years old as compared to subjects who had started menarche before 15 years old was 4.73 (95%CI: 1.27~17.7).
    Conclusions: Late menarche age was the risk factor toward osteoporosis, while high education and high BMI were the protective factors against osteoporosis in study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모자보건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