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기성 사지운동장애와 사망률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and Mort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06
6P 미리보기
주기성 사지운동장애와 사망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수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수면정신생리 / 30권 / 1호 / 3 ~ 8페이지
    · 저자명 : 최재원

    초록

    PLMS는 비교적 흔한 현상이지만 수면다원검사를 통해서 만 확인할 수 있고, PLMD는 RLS 등의 수면장애가 배제되 어야만 진단할 수 있어 유병률이 높지 않고, RLS는 임상증 상만으로도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많은 사망률 관련 연구들이 RLS만 또는 RLS/PLMS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많은 연구들에서 RLS 증상을 조정한 후에도 PLMS 자체의 빈도 증가가 여러 질환 의 이환율 및 사망률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RLS와 PLMS 가 많은 부분에서 공통된 변인을 가지고 있지만 수면 중 움 직임이라는 생리적인 반응이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직접적 으로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 시키는데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PLMI를 감소시키는 치료가 심혈관계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환율과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교감신경의 활성도, 혈압, 심박수, 인 슐린 감수성, 포도당 내성과 같은 측정 가능한 중간 생리학적인자에 대한 소규모 무작위 임상 시험 등의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가 PLMS 감소와 함께 중간 생리학적 인자의 개선을 입증한다면 향후 대규모 결과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is a 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rhythm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While PLMD itself is not considered life-threatening, its association with certain underlying health conditions raises concerns about mortality risks. PLMD has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gmented sleep caused by the repetitive limb movements and associated arousals may contribute to sympathetic activation, chronic sleep disruption, sleep deprivation, and subsequent cardiovascular problems, which can increase mortality risks. The comorbidities and health factors commonly associated with PLMD, such as obesity,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may also contribute to increased mortality risks. PLMD is often observed alongside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including restless legs syndrome (RLS) and Parkinson's disease. The presence of PLMD in these conditions may exacerbate the underlying health issues and potentially contribute to higher mortality ra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specific mechanisms linking PLMD to mortality risks and to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se ris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