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 도량 건립을 중심으로 - (The Past and Present of Seosan Bowonsa Surukjae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bodhi-mandala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 도량 건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6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운, 전영숙

    초록

    이 글은 서산 보원사수륙재의 과거와 현재를 밝혀 바람직한 보원사수륙재의 방향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보원사수륙재 모습을 찾아보기 위해 근대 이전의 수륙재를 살폈고, 현행 수륙재는 현재 한국불교 수륙재 현장을 비교하며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을 살폈다.
    근대 이전의 수륙재는 단일한 의문에 의해 설행되는 것이 아니라 설판상황(設辦狀況)에 의거하여 결수문(結手文)・중례문(中禮文)・자기문(仔夔文) 등으로 수륙재가 설행되었고, 사찰의 주전(主殿)・양서(兩序)・정문(正門) 등에 체계적으로 설단되었으며, 의례 설행은 그 역할을 분담해 병렬로 행해졌고, 회수(會首)와 재자(齋者)가 의례의 주체임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등이 과거의 의례에서는 잘 지켜져 왔을 것으로 보이며, 보원사수륙재도 다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보원사지에 수륙도량을 건립하고 있는 현재 보원사수륙재의 특징으로는 중앙의 상단에 괘불을 걸고, 좌측에 중단과 오로단을, 우측에 제산단(諸山壇)과 사자단(使者壇)을, 남측에 청법단(聽法壇)을 설치하고, 상단 앞자리에 회수(會首)와 재주(齋主) 자리를 마련한 도량 배치가 언급될 수 있다. 또 건단(建壇)의식에서 전통의 신중청(神衆請) 의식을 통해 괘불이운(掛佛移運)의 옹호(擁護)를 발원하고 있으며, 영혼(魂靈)을 맞이하는 영혼식(迎魂式)은 16~17세기 형식을 도입하고, 다른 재장(齋場)에서 볼 수 없는 사문소참(沙門小參: 對靈一種) 의식을 복원하고 있는 설행(設行)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considers finding the desirable way of Bowonsa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researching its past and present.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what Bowonsa Suryukjae looked like in the past, and its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the comparison of its current Suryukjae and the curren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Suryukjae before the modern era was not performed with a single program, but with Gyeolsumun (結手文), Jungryemun (中禮文) and Jagimun (仔夔文), etc. based on the situation on its ground. It was performed in the main h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buildings, and the main gate of the temple, etc. in parallel by sharing their roles, It seems to have shown clearly that the leader and the performers of Suryukjae are the subjects of the rites in the past, which is thought to be the same case as Bowonsa Suryukja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Bowonsa Suryukjae, which is currently set at the site of Bowonsa, is the arrangement of bodhi-mandala, such as Gwaebul (掛佛,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at the top of the center, The Middle altar and Orodan (五路壇, the altar to open the five paths of heaven) on the left, Jesandan (諸山壇, the altar for the mountains) and Sajadan (使者壇, the altar for the messenger) on the right and Cheongbapdan (聽法壇, the altar to invite the Dharma talk) on the south and a leader and a master seats in the upper front.
    Also, its other characteristics can be mentioned as follows: through the traditional rite of Sinjungcheong (神衆請, praying to pantheon), they pray good fortune for carrying the Buddhist scroll painting in the ceremonies of setting altar, and introduce the ritual to welcome the spirits (迎魂式) consisting of the formality of the 16th~17th century and restore the ritual of Samunsocham (沙門小參)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ritual sce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