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竹枝詞를 통해본 18, 19세기 중인층 지식인의 他者인식-조선 후기 胥吏 출신 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Chungin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the Other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 A Study of Bamboo-Branch Poems -Focused on the Bamboo-Branch Poems of Chujae Cho Susam, a Chungin Clerical of)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1.06
4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竹枝詞를 통해본 18, 19세기 중인층 지식인의 他者인식-조선 후기 胥吏 출신 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4권 / 455 ~ 49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죽

    초록

    秋齋 趙秀三(1762~1849)의 작품을 연구함에 있어 竹枝詞類의 파악과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는 명실상부 조선 후기의 걸출한 한시작가로서 그의 문학작품 대부분이 詩로 이루어져있으며 6차례에 걸친 연행의 경험도 일반적인 ‘연행록’의 형태가 아닌 ‘연행시’의 형태로 남아있다. 또한 본고에서 중심 텍스트로 다루고자 하는 竹枝詞에도 특장이 있어 「外夷竹枝詞」, 「海甸竹枝詞」, 「上元竹枝詞」 등과 같은 작품을 남겼으며 竹枝調 로 쓰여진 「高麗宮詞」를 남기기도 하였다.
    추재가 이렇게 다수의 죽지사류를 남기게 된 배경은, 외적으로는 당시 문단의 흐름과도 연관이 있으며 내적으로는 추재 개인의 독특한 인생편력, 紀俗에 대한 酷好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8, 19세기의 조선 사회가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겠지만, 가장 우선적인 것을 들자면 바로 ‘지식 정보의 팽창과 기록’이라는 점에 있다. 17세기 중반부터 활발하게 보급된 세계지도와 지리서 등은 지식인들의 대외인식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燕行에 참여하는 인사들의 범주가 중인층까지 확대되면서 이들의 지식정보 향유와 매개, 산출은 이 시기의 文化地圖에 주목할 만한 足跡을 남겼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가 그간 연구 대상으로 삼아왔던 추재 조수삼은 당시의 이러한 문화적 현상과 그 궤적을 함께한 인물이다.
    추재의 竹枝詞, 특히 「外夷竹枝詞」로 대표되는 해외를 소재로 한 작품은 문화적 다양성을 역력히 담아내고자 한 것들이다. 때문에 이는 작자의 異文化를 대하는 관점, 접근 방식을 살피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된다.
    추재는 연행이라는 직접 체험을 통해서 중국의 선진 문물을 목도했다. 傳聞했던 사실들을 눈으로 확인하는 순간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처음으로 착목한 대상의 화려함과 기이함을 竹枝詞라는 한시 형식을 빌어 사실적이고도 정확하게 전달하려 했다. 이러한 경험은 본격적으로 바깥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된다. 때문에 그는 「방여승략」 외의 여러 지리서를 탐독하는 간접 체험으로 세상 밖(즉 중화 문명권 밖)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他者에 대한 관심의 총체를 詩化시켰고, 면밀하게 注를 다는 방식으로 대상에 대해 적극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즉 낯선 것을 익숙하게 만드는 통로로서 죽지사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타자를 향한 그의 시선에서, 자신의 주관적 감상 즉 華夷論에 입각하여 문화적 우열을 논한다든지 하는 주관적 감상은 극도로 자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곧 선입견을 배제하자라는 의도로 보인다. 타자에 대한 그의 태도를 통해 그가 철저히 타자의 입장이 되어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상대주의적 관점’을 지녔다라고 말하기에는 분명 이른 감이 있다. 기실, 20세기로 넘어가면서도 문명과 야만을 나누는 잣대는 그대로 존재하지 않았는가라는 물음에는 여전히 명징한 답을 찾지 못한다. 하지만 ‘海中諸夷’에서 보여지는 타자에 대한 접근방식과 시선은 분명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전달하려는 단초를 내포하고 있다.

    영어초록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nd analyze several pieces of Bamboo-branch poems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works of Chujae Cho Susam, who, in fact, is a significant poet whose works, most of all, consist of poems. Especially, his experiences of six-time-journey to Peking was ordinarily embodied in the form of poems different from his contemporaries, who generally wrote their journey in the form of prose. His main capabilities as a outstanding poet lie in Bamboo-branch poems such as 「Oui jukjisa (Bamboo-branch poems of the barbarians)」, 「Haejun jukjisa (Bamboo-branch poems of the coastline)」, 「Sangwon jukjisa (Bamboo-branch poems of full moon day)」and 「Koryo Gungsa (Palace poems of Korea dynasty)」which, one of his major works dealing with Korean folklores and customs, is particularly written in Bamboo-branch-poem style.
    Two things could be pointed out for understanding background of his writings of Bamboo-branch poems: externally, main stream of the literati of that time was newly concerned about Bamboo-branch poem as a genre, and internally, poet's life and his deep concern for folklores and customs.
    And historically, we'd better consider changes of society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first of all, there was a great expansion of knowledge/information. From the seventeenth-century wide spreads of world maps and geography books marked a big impact on the intelligentia on the recognition of other world, and journey to Peking of the bands of intellectuals brought a change even to the middle class clerics, whose share and reproduction of knowledge/information left a great traces on the cultural map of that time. It is Cho Susam who is a typical poet to take step by step with these kind of phenomenal shift.
    「Oui jukjisa (Bamboo-branch poems of the barbarians)」, one of his masterpieces, which dealt with many foreign countries unknown at that time deserves to note and reread owing to its encompassing of cultural varieties. It could be a useful data and touchstone to know not only poet's viewpoint but also intellectual's approaches to other cultures.
    To sum up the writing-process and values of his works of Bamboo-branch poems might be like these: he eyewitnessed the developed society of Qing China and was attracted by their beauties and specialties, and tried to described it realistically in the form of Bamboo-branch poem that, he would think, is best fit to transfer his intentions. It was just a first stage to provoke him to get curiosity about other world. Then, he read various geography books, for example, 「Bangyo sungryak (Excellent extracts of the world)」, and this reading of indirect experience was served to crystallize into poems and to add it, he annotated detailed notes on them,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 evidence of positive approaches to the other. In brife, we could estimate that his attitudes to the other manage to escape from a trap either between the culture and the barbarians o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ctually, strict speaking, it is difficult to say and judge his viewpoint is a model of a cultural relativism accepting foreignness itself of the other. However, we could see and discover a clue that he concedes cultural varieties and tries to make a bridge to connect us with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