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시기 독본류 교재로 바라본 한문고전교육의 의미-일제시대 총독부 출간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을 중심으로- (The Chinese Classica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sof Reading Books in Korean Modern Times-Focused on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 Which was publish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2.04
33P 미리보기
한국 근대시기 독본류 교재로 바라본 한문고전교육의 의미-일제시대 총독부 출간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4호 / 251 ~ 283페이지
    · 저자명 : 홍유빈

    초록

    본고는 일본통치기에 출간된 『중등교육 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시기 독본류 교재를 통해 한문고전교육의 의미를 돌아본 논문이다. 유구한 漢學의 전통이 이어져 온 한국에 있어서, 과거 조선시대의 서당 교육과 향교 등에서 가르쳤던 훈몽서나 儒家 서적들과 그에 대한 학습은 ‘한문고전교육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의 개화기를 지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교육에서의 한문교육은 개별 교과의 하나로서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고 한문고전교육 역시 그 안에서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화기는 한학과 한문교육에 대한 열기가 여전히 유지되었던 시기였으며, 韓ㆍ日 병합에 의해 일본의 통치 하에 들어간 시기에도 어문정책에 있어서는 漢字ㆍ漢文의 몫이 상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중등교육 조선어급한문독본』은 그 이전에 사용되던 『보통학교 학도용 한문독본』이나 『(고본)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등의 교재에 비해 한문의 비중은 적지만, 단문의 경우 우리말 번역을 붙이고 장문에는 제목과 출전을 밝히는 등 이전의 교과서에 비해 진일보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장문으로 수록된 글 역시, 일제시기의 초창기 독본류 교과서의 경우 경서류 위주의 중국 문장 일색으로 구성된 것에 비해, 『중등교육 조선어급한문독본』에서는 중국 고전을 포함하여 『삼국사기』나 『증보 산림경제』와 같은 조선의 고전 문장들을 다수 수록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예문들 위에 頭註의 형식으로 저자 소개나 서지 및 어려운 어구에 대한 풀이를 간략하게 적어놓아 한문고전에 대한 교양을 쌓는 데에 좋은 길잡이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서는 한문과 한문고전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재에 있어서도 일정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서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본서에 수록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자세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본서의 첫 권인 1권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한문고전 교육 교재로서의 특징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on the meaning of Chinese classica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s of reading books in Korean modern times focused on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 which was publish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of Chinese books for the children or Confucian books in Seodang and Hyanggyo are the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tself in Korea which has had the long-lived tradition Chinese literature. However, from the Flowering period in Chosun late dynasty to the present, Chines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each subject and Chinese classical education also had been included. Nevertheless, The Flowering period was somewhat full of enthusiasm about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education. Ev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art of Chinese education had a big portion in terms of language education. The book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 which discussed had the less portion of Chinese literature compared to 『普通學校 學徒用 漢文讀本』 or 『(稿本)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had more developed aspect than the previous textbooks in terms of revealing the title and the reference for the long sentences and Korean translation for short sentences. And in the case of the writings for the long sentences, 『中等敎育 朝鮮語及漢文讀本』 had included Chinese classics and Korean classics such as 『三國史記』 or 『增補 山林經濟』. By the way, reading textbooks in Japanese colonical period had been composed of Chinese sentences focused on the Confucian textbooks. Furthermore, footnotes in each sentences had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writer and the references or the difficult sentences. Therefore, it had a guiding role for enhancing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Chinese literature. In this perspective, this book can be a good guide for the present which has had the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in the previous study abut this book had not included the specific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reviewed the book, especially the first book,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as Chinese classical education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