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조가야금의 오선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에 관한 연구- 성금련류 산조 악보와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Stave Music Notation of Sanjo Gayageum - focusing on Gayageum Sanjo scores and accordaturas described in music textbook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4.01
19P 미리보기
산조가야금의 오선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에 관한 연구- 성금련류 산조 악보와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교육공학 / 18호 / 175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한순

    초록

    산조가야금은 1959년 대학에 국악과가 생기면서 악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오선 기보가 이루어졌다. 그 이후 채보자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하여 여러 종류의 악보가 생겨났다. 본 연구자는 기존의 가야금 산조 악보에 나타나는 조현법을 고찰하고 유형에 따른 장단점을 분석하여 음악교과서에 나타나는 조현법의 사례와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교육에 적용하게에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기존의 가야금 산조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은 6가지 유형이고,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조현법은 3가지 사례이다. 음악교과서에 나타나는 조현법 사례 1은 높은음자리표에 제 6현인 ‘징’의 조현을 <g'>로 하고 구음을 같이 표기하여 산조가야금의 실음보다 5도 위로 기록되어 있고, 이는 기존의 가야금 산조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 유형 1과 같은 형태이다. 음악교과서에 나타나는 조현법 사례 2는 높은음자리표에 제 6현인 ‘징’을 <g'>에 맞추고 구음과 함께 계이름 그리고 음역을 함께 표시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가야금 산조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 유형1과 유사한 형태이다. 음악교과서에 나타나는 조현법 사례 3은 올림표인 조표를 하나 붙이고 제 6현인 ‘징’을 <g'>에 맞추어 실음보다 5도 위로 오선보에 음을 기록하고, 음 구조는 실음처럼 기록하였고, 이는 기존의 가야금 산조 악보에 나타난 조현법 유형2와 같은 형태이다.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사례는 학습자가 악보를 쉽게 읽을 수 있는 편의 기보이다. 이는 비록 실음과 다른 기보로 인한 혼동을 야기할 수 있으나 그 편리성이나 처음 오선보에 가야금 산조가 기록된 이후 오랫동안 상용되어 온 기보이기에 교육에도 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산조가야금의 음높이와 줄 이름을 나타내 주는 구음과 줄 번호를 함께 기록하여 실음과 다른 혼동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departmen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first established in college in the year of 1959, needs for Sanjo Gayageum scores were considered which, in the end, created the stave scores. Since then, depending on music writers who would work on different standards to each other when they try to write music, a variety of scores have been introduced. In that regard, the responsible researcher of the concerned study investigated accordaturas in the current Gayageum Sanjo scores and other accordaturas in the music textbooks at middle school as well and discussed an accordatura which would be determined proper enough to be applied to education.
    In the current Gayageum Sanjo scores, there are found a total of six accordaturas with three other accordaturas described in the music textbooks. The first accordatura in the textbooks determines 'Zing', the 6th string, as <g'> on the G clef with an oral sound of the string provided. In the concerned accordatura, this string is considered to be higher than the actual note by five chords, and that agrees to the other first accordatura in the current Gayageum Sanjo scores. Accordatura 2 in the music textbooks sets 'Zing', the 6th string, onto <g'> on the G clef and includes the oral sound, the syllable name as well as the range of the note, which is all considered similar to the first accordatura in the current Gayageum Sanjo scores. The third accordatura in the music textbooks adds a key signature, a sharp, and sets the 6th string, 'Zing', onto <g'>. That way, this third accordatura places the 6th string on the stave by five chords higher than the actual note but with the note structure described exactly as the actual note. That is believed to be the same form to that of Accordatura 2 in the current Gayageum Sanjo scores.
    All those accordaturas in the music textbooks have presented the note by five chords higher than the actual note because they want to help learners to read the scores more easily. However, the scores which are written differently from the actual notes might cause either confusion or other problems so in that regard, the scores in the music textbooks should work on the actual not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hen it com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it is determined to be proper to teach the learners with the accordatura by the actual no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교육공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