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變禮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家禮』 연구의 특성 및 함의―『禮疑答問分類』와 『禮疑類輯』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the Family Ri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Transformed Ritual Books―Forcusing on the Yeuidapmunbunryu and Yeuiryujip―)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8.11
39P 미리보기
變禮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家禮』 연구의 특성 및 함의―『禮疑答問分類』와 『禮疑類輯』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1호 / 337 ~ 375페이지
    · 저자명 : 장동우

    초록

    『의례경전통해속』은 변례를 범주화하여 재성문화한 동아시아 최초의 저술이다. 중국은 이후『의례경전통해속』의 여섯 가지 범주 체재에 약간의 변주만을 가한 형태로지속되는 반면, 조선은 변례에 대한 관심과 성찰이 출발부터『가례』의 수행을 목표로진행되었으므로 중국과는 다른 개성을 보여준다. 『가례』 체재에 기반한 네 가지 범주체재와 고증이 아니라 행례가 중심이라는 점이 그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17세기 『의례문해』를 진전시킨 『예의답문분류』에서 정립되고 18세기 후반 『예의유집』에 이르러그 정점에 도달한다. 『예의답문분류』는 관변례, 혼변례, 상변례, 제변례 등 『가례』 체재에 조응한 네 가지 변례 체재를 정립하고 중국 문헌 중심에서 조선학자들의 의론 중심으로 변례 연구의 프레임을 전환시킨다. 『예의유집』은 폭증하는 관련 의론을 네 가지 체재를 기본으로 분류하되 하위 범주를 세분화하는 방식을 통해 조직화함으로써 『가례』의 수행가능성을 제고하는 한편, 관련 의론의 대립하는 논점과 그 논거를 학파 구분 없이 수록한다.
    『예의유집』은 義起의 결과로 제시된 변례 관련 의론의 정당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이를 기초로 예의 수행 과정에서 마주할 수밖에 없는 변례적 상황에 성찰적으로 대응할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저술로, 조선시대 『가례』 연구가 행례를 중심으로 축적적으로 진전되었음과 변례적 상황에 대처하는 최고 수준의 성찰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Yilijingzhuantongjiexi (儀禮經傳通解續) is the first to b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of transformed-rituals, and in China, such categories are maintained only after a few vari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Joseon, the study of the transformed ritual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Family Rituals (家禮) from the beginning, so it shows a unique personality different from China. This is not the testimony of the confuscian text, but the practicing centered. This aspect was established at the stage of the 17th century Yeuidapmunbunryu (禮疑答問分類) and reached the peak of the early 18th century Yeuiryujip (禮疑類輯).
    Yeuidapmunbunryu establishes a system of transformed adulthood rituals, transformed weddingrituals, transformed funeral rituals, and transformed sacrifice rituals that are adapted to the Family Rituals system, and transforms the frame from the Chinese literature centered to the discussion of Joseon scholars centered. Yeuiryujip maximizes the possibility of performance by organizing the increased transformed rituals theories through the organization of categories. In addition, the opposing points of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case and the arguments are accumulated without the academic consciousness.
    Yeuiryujip is a writing to verify the legitimacy of the transformed rituals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responding to the problems of the transformed rituals that are inevitably faced in the course of courtesy. In this respect, Yeuiryujip shows at the highest level that the study of the Family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has progressed accumulately and forcused on practic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