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의 회복인가 해체인가? - 카프카의 『변신』과 무라카미 류의 『최후의 가족』에 나타나는 가족문제 (Normalization or Dissolution? - family problems in Die Verwandlung by Franz Kafka and in The last family(saigo no kazoku) by Murakami Ryu)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4.03
22P 미리보기
가족의 회복인가 해체인가? - 카프카의 『변신』과 무라카미 류의 『최후의 가족』에 나타나는 가족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46호 / 5 ~ 26페이지
    · 저자명 : 서유정

    초록

    사회의 최소단위로서의 가족은 다른 사회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역사적 변천과정을 겪는다. 기독교와 전통에 의해 ‘성스러운 가족’이라는 신화가 강화되면서 공적영역으로부터 피난처를 제공하고 가족구성원간의 친밀감을 제공해주는 시민가족은 서구 개인주의의 발달과 맞물려 뚜렷한 윤곽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이러한 시민가족의 형태는 점차 해체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대안가족의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20세기 초에 출간된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변신』(1915)과 21세기 초에 출간된 일본작가 무라카미 류의 소설 『최후의 가족』(2001)은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2세대로 이루어진 근대시민가족이라는 공통된 배경을 갖고 있는 소설로 가족 내의 소통의 문제, 일과 폭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두 작품은 표면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결말을 제시하고 있다. 카프카의 경우 해충이 된 아들의 죽음으로 가족은 다시 평화를 회복하고 그 사이 성숙해진 딸을 통해 가족이라는 체제가 존속되리라는 희망으로 끝난다. 해피엔딩으로 보이는 결말이지만 가족과 개인 간의 갈등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어 가족은 출구 없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류의 경우 히키코모리 아들과 아버지의 실직이라는 가정 안팎의 문제를 구성원 각자가 가족 외적인 관계를 통해 나름대로 해결하게 된다. 그러면서 “우리는 한 가족이야!”라고 외치면 끝난다. 그렇다면 약 1세기라는 간격을 두고 있는 이 두 작품은 가족이라는 전통적인 이상의 회복을 다시 꿈꾸고 있는 것인가? 결코 아니다. 카프카의 경우 시민가족에 대한 회의와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류의 경우 개인을 억압하는 구조로서의 가족의 해체를 분명히 말하고 있다. 그 해체란 다름 아닌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주체의 부활이다.

    영어초록

    The family as the smallest social unit is, just like all the other social systems, subject to social and historical changes. Christianity and Tradition fortify the myth of the 'sacred family' as a natural given condition, which falls apart more and more since the modern era. Shielded from the public and offering familiarity to its members, the family as a shelter has taken shape more clearly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individualism. Nowadays there are multiple forms of family an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lternative forms of family in a time, when the traditional form of the bourgeois family is gradually getting in dissolution. The story of the novella Die Verwandlung(The Metamorphosis, 1915) by Franz Kafka, pub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at of the novel The last family(saigo no kazoku, 2001) by Murakami Ryu take place despite all cultural and temporal differences against the common background of a modern two-generation-family with all its internal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work and violence. Both works give an overview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family and serve as an excellent example of a comparative literature. On the surface these two stories have a similar end, but they run in fac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is no way out in the conflict between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in the case of Kafka, whereas Ryu makes the reader of his novel feel that there could be another way. The family in Die Verwandlung seems to have its peace at the very moment when Gregor, the useless vermon-son, dies(or be killed). And his parents dream of the survival of the system 'family' through their by now grown up daughter, which seemingly means a happy ending. To the contrary the japanese novel comes to a good end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family overcomes the inner and outer problems such as Hikikomori-son and the concealed joblessness of the father as each family member obtains autonomy by means of extra-familial relationship. The already dissolved family comes together once again and the father shouts cheerfully "We are a family!". Do both families still dream of the old ideal of the 'sacred family' at an interval of one hundred years and succumb to the sway of the family-ideology? By no means! Although both works make mention of the 'family' quite often, there is actually some scepticism about the bourgeois family in the case of Kafka, whereas the novel of Ryu expresses an explicit call for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family. And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s fetter, which suppresses the individual means nothing but the rebirth of the autonomous and fre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