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물유체로 본 선사·고대 견과류 이용의 변화 -도토리ㆍ참나무와 밤ㆍ밤나무를 중심으로- (Exploitation patterns of nuts and nut-yielding trees from Neolithic to ancient periods in Korea based on plant remain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2.02
43P 미리보기
식물유체로 본 선사·고대 견과류 이용의 변화 -도토리ㆍ참나무와 밤ㆍ밤나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0권 / 5 ~ 47페이지
    · 저자명 : 안승모

    초록

    이 글에서는 종실, 목재(수종분석), 화분의 세 가지 식물유체에 근거하여 선사~고대의 견과류 이용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신석기시대는 낙엽성 참나무(Quercus sp.) 중심의 숲이 형성된 시기로 수종분석에서도 참나무속이 다수를 차지한다. 많은 유적에서 도토리 열매가 출토되고 있고 저장혈도 발견되었다. 밤은 출토되지 않았으며, 밤나무도 유일하게 비봉리유적에서 한 점 보고되었다. 밤은 일본에서는 繩文시대부터 중요한 식료로 이용되었으나 우리 신석기시대는 그렇지 아니하다. 청동기시대 농경이 본격화하면서 식량으로서의 도토리 중요성은 크게 감소한다. 밤 역시 유적에서 검출된 예가 없다. 수종분석에서는 여전히 참나무가 압도적이며 밤나무는 일부 유적에서 확인되나 비중이 미미하다.
    밤은 원삼국시대부터 채협총, 다호리 1호분 등 무덤에서의 부장 뿐 아니라 취락 유적에서도 빈번하게 출토되고 있다. 원삼국ㆍ삼국시대 수종분석에서도 많은 유적에서 밤나무가 확인되었다. 밤과 밤나무의 비중이 특히 증가한 것은 기원후 3~4세기부터이다. 충청남도, 전라남ㆍ북도, 경상남도의 3~5세기 유적 수종분석에서 밤나무가 우점종인 경우가 많고 그 비중이 50%에서 100%까지 이른다. 밤나무 육성이 마한 뿐 아니라 백제, 가야 지역까지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부지방에서 밤과 밤나무의 출현율은 미약하다.
    남한 각지의 화분분석 역시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단계부터 참나무속이 급감하고 소나무속과 벼과 및 문화지표식물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식생변화는 기후의 한랭건조화 또는 경작지ㆍ취락 확대 등 인간 간섭 증대에서 비롯된 것인데 2차림으로서의 밤나무 비중이 점증하면서 가공이 쉽고 맛도 좋으며 영양가도 높은 밤이 새로운 식량 자원으로 각광을 받게 되고 결국 적극적 보호와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nut -esp. acorns and chestnuts- exploitation patterns from Neolithic to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based on the plant remains including seeds, woods and pollens. Acorns which were important food resources during the Neolithic became special or emergence foods from the Bronze age when divers crops such as rice, millets, barley, wheat, soybean and red bean became to be cultivated. Nevertheless oak trees were still used as main materials for buildings. Decline of oak trees from Proto-Three Kingdoms because of both climatic changes and intensive agriculture made people search for the alternatives instead of acorns. They found it from chestnut which could provide more delicious, more energetic (in terms of calories and nutrition) foods and easy to process. Chestnut tree can be easily grown in secondary forests. Chestnut remains have not been reported from Neolithic and Bronze age sites except a few reports of chestnut wood charcoals in very low quantities. However, chestnut remains appeared frequently from the 3rd to 4th century AD both in flotation samples, wood charcoals and waterlogged woods, and occasionally even in pollen records. Some communities in ancient Mahan and Baekche polities of southwest region changed nearby forests into chestnut dominated landscape. Chinese ancient text record that Mahan and Baekche yield chestnut as large as pear. Chestnut were frequently found from Lelang tombs during 1st century BC to 4thcentury AD in northwestern region. Han Chinese food culture and customs of offering fresh fruits such as chestnut and peach might have diffused into Korean peninsular via Lel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