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평광기(太平廣記)』「의(醫)」류를 통해 본 고대 중국의 ‘의(醫)’와 치유에 관한 탐구 (A Study on Ancient Chinese Medical Cure through TaiPiangGuangJi ‘Yilei’)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태평광기(太平廣記)』「의(醫)」류를 통해 본 고대 중국의 ‘의(醫)’와 치유에 관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32호 / 173 ~ 206페이지
    · 저자명 : 유강하

    초록

    이 글은 고대 중국 의학의 단면이 기록된 『태평광기(太平廣記)』 「의(醫)」류의 기록을 통해 치료/치유의 의미를 되살피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탐구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전문적 의서(醫書)가 아니라, ‘의’에 관한 박물지적 성격으로 기술된 『태평광기』 「의」류는 치료/치유에 대해 포괄적이고 느슨한 접근을 하고 있다. 『태평광기』에는 당시 일반 의서에서 배제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기이한 발병 현황, 평범하지 않은 병인(病因)을 찾아내는 의자(醫者)들과 독특한 치료 방법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고대 중국 의학에서 약물치료, 외과적 처치, 위약반응, 종교․주술적 방법 등의 치유법이 사용되었다는 점을 알게 한다.
    많은 의자(醫者) 가운데서도 손사막(孫思邈)의 치유는 주목할 만하다. 약왕(藥王), 양의(良醫) 등의 이름으로 칭송되었던 손사막은 약물처방, 침술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한편, 그는 훗날 인문의가(人文醫家)라는 호칭을 부여받는데, 이는 그가 질병과 환자를 대했던 인문학적 태도, 의료윤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손사막은 근심[憂]과 두려움[畏]이라는 예방책이자 처방전을 제시하였다. 이는 각자 가진 사회적 신분에 따라 어려움의 내용은 다르지만, 고통을 삶의 문제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현행하는 인문치료/인문치유 등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손사막이 고통의 범주를 사회적 고통까지 확대시키지는 못했지만, 이런 한계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가 고통에 대해 육체적 문제를 뛰어넘어 삶의 문제로 확장시키고, 치료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공조적 접근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손사막이 강조한 것은 ‘건강한 몸’과 더불어 ‘건강한 삶’이다. 몸은 건강하지만, 정신과 마음의 황폐화로 고통을 겪고 있는 ‘지금, 여기’의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대목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의자(醫者)를 기술자가 아닌, 환자와 소통해야 하는 인간으로 규정하고, 의료윤리를 제시한 점은 눈여겨보아야 한다. 근심과 두려움의 태도를 갖고, 세상과 사람을 대해야 한다는 마음의 수련․정신적 훈련은 인문학을 통해 치유라는 목표에 도달하려는 오늘날의 수많은 노력과 크게 다르지 않다.
    치료/치유가 특정한 질병과 고통에 대응되는 한정된 용어는 아니다. 인간이 지향하는 것이 ‘건강한 삶’이라고 했을 때, 치유의 범위는 넓어지고 깊어진다. 전문적 의료가 아닌, 비의학적 치유 방법이 유행했던 현실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테라피, 치유를 지향하며 그들만의 영역을 확대․심화하는 대안치료의 범람은 건강한 삶을 바라는 사람들의 근원적 욕망을 그대로 보여준다. 인간과 그 삶을 탐구해온 인문학은 의학과 대척점에 서 있지 않다. 오늘날 손사막의 치유에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itiated with the objectives to review the meanings of treatment and healing by the records of TaiPingGuangJi(太平廣記)’ ‘Yilei’(醫類) recorded with the profile of ancient Chinese Medicine, and to investigate their current meanings. TaiPingGuangJi ‘Yi’ which were described not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medical book but as those of natural history book on Medicine, they approached to ‘treatment‘ or ‘healing’ with integrative ways. Lots of extraordinary outbreak status, doctors who found unusual etiology, and their unique treatment methods were recorded in TaiPingGuangJi which were excluded in the general medical books at that time. The healing methods were used in the ancient Chinese Medicine like today including pharmacological treatments, surgical treatments, placebo effect, and also religious and charming methods, etc. Healing of Sun Si Miao(孫思邈) was remarkable out of numerous doctors. Sun Si Miao empathized the solutions to the challenges were dependent on his/her own attitude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by social status, showing the prescriptions as well as preventives such as anxiety and fear.
    This can be understood with the same context such as current humanitarian healing. However, Sun Si Miao did not expand the criteria of pain up to the social one. Though this limitation is acknowledge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un Si Miao’s saying that he expanded the problem of pain to the problem of life exceeding the physical pain, and the cooperative approach for the treatment in a variety of areas. Treatment and healing are not the limited terms only for the specific disease and pain. The scope of healing becomes wider and deeper in case the intention of the human-being is ‘healthy life.’ The reality that TaiPingGuangJi ‘Yi’ were recorded among numerous medical books and non-medical healing methods were popular at that time seems to be repeated these days. The overflow of alternative treatments to expand and deepen their own areas pursuing therapy and healing reflects the desires of the people who wish the healthy lives. Humanities that had been studied on the human-beings and their lives were not positioned on the antipode to Medicine but absorbed each other to secure greater utility. This is wh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Sun Si Miao’s healing again,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