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에 나타난 언어 인식과 표상 -기행문과 수필류를 중심으로-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Languagein the Records of Joseon People’s Experiences in Manchuin Modern Times -Focusing on the travelogues and essay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08
34P 미리보기
근대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에 나타난 언어 인식과 표상 -기행문과 수필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민학회
    · 수록지 정보 : 연민학지 / 40권 / 303 ~ 336페이지
    · 저자명 : 강혜종

    초록

    본고는 근대 조선인의 만주기행문 및 수필류에서 발견되는 언어 체험의 기록에 주목하였다. 이들 텍스트는 상당수가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된 것으로, 기획된 만주 담론과 필자들이 경험한 만주의 실상 및 감상이 교직된다. 특히 언어 체험은 다수의 글에서 인상 깊은 장면으로 묘사된다. 본고에서는 이들 기록에서 발견되는 만주 공간의 언어가 이국풍(異國風)과 제국의 역학을 비추는 거울이자, 오족협화(五族協和)의 땅으로 선전된 만주국의 허상을 드러내는 균열의 기제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주 공간에서 위계화된 언어의 현실은 필자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었다. 언어 현실로 반영된 제국의 역학을 수용하는 관점에서는, 일본어가 명실상부한 국제어로서 오족협화를 실현하는 수단이자 제국의 희망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로 여겨졌으며, 타자화된 언어는 곧 정치 현실에서 타자화된 국가와 국민의 표상으로 인식되었다. 반면에, 모어(母語)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불통의 상황을 목도하거나 체험하는 과정에서는, 식민지 조선이 처한 현실이 자각되거나 부조리한 구조가 비판적으로 성찰되기도 하였다.
    여행 중에 만난 조선인 동포나, 때로는 외국인의 목소리로 감각된 조선어는 식민지 조선과 조선인의 현실을 상기시키는 민족의 표상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조선어의 지위는 미미하고 때로는 양지로 드러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조선어는 기획된 만주 서사 이면의 개별 조선인의 삶을 포착하는 수단이자, 재만조선인이 투쟁으로 지켜내야만 하는 ‘민족’의 언어이자 ‘자신’의 언어였다.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 속의 언어 현실은, 필자의 관점과 텍스트의 성격에 따라 재현되고 해석되며, 만주 공간의 역학 속의 균열과 불협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rds of language experiences found in modern Koreans’ Manchu travelogues and essays. Many of these texts have been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planned Manchu discourse is intertwined with the reality and appreciation of Manchu experienced by the authors. In particular, the language experience is described as an impressive scene in a number of texts. This paper notes that the language of Manchu space found in these writings is a mirror reflecting the dynamics of nations and the exotic atmosphere, as well as a mechanism of cracks that reveal the illusion of Manchukuo, which was promoted as the land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s.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Manchu wa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uthor's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the dynamics of the empire reflected in language reality, Japanese was regarded as a means of realizing the Harmony of Five Nations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nd indicator of the hopeful prospects of the empire, whereas the otherized language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on of otherized nations and people in political reality. However, in the process of witnessing or experiencing a lack of communication when the native language cannot be freely used, the reality faced by colonial Joseon was recognized and the absurd structure was critically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sensed through the voices of Korean compatriots or sometimes foreigners met during travel, could be interpreted as a representation of Joseon and Joseon people, reminding them of the colonial reality. Although the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was insignificant and sometimes it was even a hidden language which could not be used publicly, the Korean language was a means of capturing the lives of individual Koreans behind the planned Manchu narrative and a language of the people that Koreans living in Manchu had to protect with struggle.
    As such, the language reality in the records of the Joseon people's experience in Manchu was reenact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uthor’s perspective and the discourse of the texts, showing cracks and disharmony in the dynamics of Manchu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민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