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걸대류 의문형 어미의 통시적 변화 연구 - <우리말샘>의 옛말 표제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Interrogative Endings on Nogeoldae Textbooks - Focusing on Headwords of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03
33P 미리보기
노걸대류 의문형 어미의 통시적 변화 연구 - &lt;우리말샘&gt;의 옛말 표제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99호 / 7 ~ 39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현

    초록

    본 연구는 통시적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pilot study)로, 노걸대류 문헌에 나타난 의문형 종결어미와 관련된 <우리말샘>의 ‘옛말’ 표제어를 살피고, 웹사전 형태의 고어사전 편찬을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노걸대류 문헌 4종(번역노걸대, 노걸대언해, 평양감영중간노걸대언해, 중간노걸대언해)으로, 16세기 초부터 18세기 후반까지의 언어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문헌에 해당한다. 위의 문헌은 초급 수준의 중국어 학습서로 짧은 문답 형식의 구성을 하고 있어, 타 문헌보다 의문형 종결어미의 변화가 비교적 잘 드러난다고 판단하였다.
    의문형 종결어미의 표제어 검토를 위해 노걸대류 문헌에서 의문문 대응 쌍을 먼저 추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의문형 종결어미를 검토한 결과 중세국어에서의 복잡한 의문문 체계가 많이 무너져 혼란스러운 양상이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총 288개의 대응 쌍 중 의문형 종결어미가 유지되는 유형(Ⓐ, 99쌍)의 가장 고빈도 의문형 종결어미는 ‘-뇨’였으며, 의문형 종결어미가 변화하는 유형(Ⓑ, 149쌍)에서 가장 고빈도로 나타나는 변화는 ‘-녀 > -냐 > -냐 > -냐’였다. 또한, 이러한 의문문 대응 쌍의 문답에 해당하는 평서형, 명령형, 약속형의 종결어미를 검토한 결과 의문형 종결어미를 제외한 타 종결어미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말샘>의 ‘옛말’ 표제어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보완해야 할 사항이 있음을 밝혔다. 종결어미가 중세·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까지 형태가 유지된 경우, ‘옛말’ 표식과 관련한 표제어 선정의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표제어의 뜻풀이 및 참고정보의 일관성과도 관련된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웹사전 형태의 고어사전 편찬을 위한 국어사 코퍼스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위해 좀 더 체계적으로 시기별, 문헌별 표본에 관한 대표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영어초록

    This pilot study aimed to compile a diachronic dictionary.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ded to intensively examine final endings of interrogative sentence shown in Nogeoldae-related literature in headword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old Korean words in Woorimalsaem, an open-type Korean dictionary, and give some suggestions on compilation of Web dictionary-typed old Korean dictionary. Sources used for this study were four books: Beonyeok Nogeoldaem, Nogeoldae Eonhae, Pyeongyang Gamyeong joonggan Nogeoldae Eonhae, and Joonggan Nogeoldae Eonhae. They are very useful for checking changes in final ending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To examine headwords in final ending of interrogative sentence, this study extracted corresponding pairs in Nogeoldae-related literature and compared them, found that complex interrogative sentence systems in the middle age Korean collapsed over time, revealing confused forms in later years.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final endings in declarative sentence, imperative sentence, and promising sentence had not changed much.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examined headwords of ‘Old Korean Words’ in Woorimalsaem and found that some elements should be revised. If a final ending has not changed for a modern Korean, it is necessary to set the standard to select the headword related with designating ‘Old Korean Words’,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consistency in definition of headwords and reference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rpu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reflect such elements, it is necessary to adopt more systematic standards per period and per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