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한류 열풍과 혐한류 현상에 대한 담론 -한중 언론의 한류 견해와 주장을 중심으로- (Hanryu as a megatrend and its anti-discourse - Contentious points of Chinese and Korean journalism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중국의 한류 열풍과 혐한류 현상에 대한 담론 -한중 언론의 한류 견해와 주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25호 / 337 ~ 361페이지
    · 저자명 : 김범송

    초록

    1997년 중국의 국영방송 CCTV에서 한국의 인기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를 중국어로 번역해 중국전역에 방송한 것을 계기로, 드라마를 선봉으로 하는 한류가 중국인들에게 인지되기 시작했다. 그 후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한류 열풍이 중국대륙에서 일어났고, 한동안 소강상태를 유지하다가 2005년 드라마 「대장금」 열풍에 힘입어 다시 한중 언론의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들어 일본과 대만 및 중국본토에서 자국의 문화사업을 보호하는 취지하에, 언론의 한류 폄하와 정부 규제로 인한 혐한류 역풍 또한 만만치 않다.
    따라서 한국 국내에서는 한류가 지속될 것인가, 일시적 유행으로 끝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혐한류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한류가 지역적으로 동아시아에서 북미, 러시아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고 콘텐츠에서는 드라마 · 영화 · 음악 · 게임 · 음식 · 화장품 · 한글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어, 지속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주류적이다. 한마디로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가 다양하고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의 한류 열풍에 대한 한중 언론과 학자들의 견해와 시각은 좀 구별되는 양상을 보인다. 한국 언론은 주관적으로 중국 내 한류 현상을 과장해 보도하며 한국학자들은 한류가 이미 사회적 트렌트로 자리 잡았다고 보는 경향이 큰 반면, 중국 언론은 객관적이고 소극적인 보도자세로 임하며 중국학자들은 한류가 트렌트로 확실히 자리 잡으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중국)한류 열풍의 초석을 다진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가 중국에서의 인기원인과 상존하는 문제점 및 혐한류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한류 열풍의 지속화 방안을 제언하는데 취지를 둔다.

    영어초록

    In 1997, Chinese national broadcasting station translated a korean famous drama ‘Sarangi mogile’ into chinese and transmitted it over china. Since that, Hanrue began to be recognized to chines people.
    World cup match of Korea -Japan intensified the trend of Hanrue in national wide of Chinese continent. However, it maintained for a while lull and in 2005 through ‘Daejangkum’, its hot blast became to get interest from journalism of Korea and Japan again.
    Recently with the gist back cause so that protects the culture enterprises of the home country from Japan and Taiwan and the Chinese mainland, the cold current and the favoravle current of Hanrue coexist under government regulation and journalism on nagative attitude of Hanrue.
    There is a hot debate of Hanrue which will be over with the thing authorization wether the Hanrue will be continued consequently or it will be temporary just popularity.
    Even in worry of favor-Hanrue and anti-Hanrue, Hanrue, in regional from East Asia to North America and the Russia, its trend has been spreading. It is also becoming diversification with the drama, movie, music, game, food, cosmetics, and korean language. And there is the continuous possibility to have its popular influence worldwide as well.
    The Hanrue has diverse cultural contents of Korea as well as high competitivenessd. However, the korean and china scholars are different opinions of the hot blast of Hanrue in China.
    The Korean journalists discussion exaggerates the Hanrue that it has already set its position as main cultural trend in China, whereas the chinese journalists seemed to be negative attitude to Hanrue that the length which will go yet it is distant.
    This is aiming at analyzing the phenomena of Hanrue: its geneology, socially diverse trends and its problems and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