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달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ft, Grain and Hardway Planes in Jurassic Granites, Kore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0.09
19P 미리보기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달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의 역학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물학회
    · 수록지 정보 : 광물과 암석 / 33권 / 3호 / 273 ~ 291페이지
    · 저자명 : 박덕원

    초록

    화강암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으로 알려진 세 직교하는 분할면의 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R, G 및 H 공시체는 거창 및 합천 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블럭 샘플로부터 획득하였다. 이들 세 공시체의 장축의 방향은 세 면 각각에 수직이다. 세 면에 대한 판별에 유용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R, G 및 H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와 관련된 세 그래프의 스케일링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을 작성하였다. 강도의 증가에 따라 세 공시체의 그래프는 H < G < R의 순으로 배열한다. 공시체 내부의 조직 균일도를 지시하는 세 공시체에 대한 그래프의 경사각을 비교하였다. H 공시체(θH, 24.0°~37.3°)에 대한 상기한 각이 세 공시체 중에서 가장 낮다. 둘째, 두 공시체의 평균압축강도의 조합을 나타내는 RG, GH 및 RH 공시체의 세 그래프와 관련된 스케일링 특성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이들 세 그래프는 GH < RH < RG의 순으로 배열한다. 섯째, 강도차(Δσt)와 경사각(θ)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위의 두 파라미터는 -0.003의 지수(λ)를 갖는 지수함수의 상관성을 보여 준다. 두 화강암에서, RH-그래프의 경사각(θRH)이 가장 낮다. 넷째, 세 공시체에 대한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각 공시체에 가해진 압축하중에 평행 배열하는 두 조의 미세균열에 대한 다섯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 주는 여섯 유형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거창 및 합천화강암에 대한 이들 도면으로부터, 빈도수(N, 0.872) 및 밀도(ρ, 0.874)와 함께 총 길이(Lt)에 대한 상관계수(R2)의 평균값(0.877)이 가장 높다. 또한, 세 공시체의 최소(0.768) 및 최대(0.804)의 압축강도에 비하여 평균압축강도와 관련된 상관계수의 값(0.829)이 보다 높다. 다섯째, 거창화강암의 세 공시체에서 발달된 상기의 두 조의 미세균열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압열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R, G 및 H 공시체에 해당하는 이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는 H(R1+G1) < G(R2+H1) < R(R1+G1)의 순을 보여 준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압축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상호 부합한다. 따라서, 세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상기한 세 유형의 인장강도와 상호 비례한다. 여섯째, 상기한 세 그래프에서 도출한 각 누적수(N=1~10)에 해당하는 세 인장강도 그리고 각 그래프에 해당하는 다섯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 계수를 도출하였다. 10개의 상관도에서 도출한 각 파라미터에 대한 상관 계수의 평균값은 밀도(0.763) < 총 길이(0.817) < 빈도수(0.839) < 평균 길이(Lm, 0.901) ≦ 중앙 길이(Lmed, 0.903)의 순으로 증가한다. 일곱째, 세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그리고 압열인장강도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상기한 상관도는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다섯 그룹(A~E)의 인장강도를 근거로 아홉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최소압축강도를 제외한 평균 및 최대압축강도와 함께 인장강도가 증가할수록, 상관계수의 값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영어초록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orthogonal splitting planes, known as rift, grain and hardway planes in granite quarries, were examined. R, G and H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block samples of Jurassic granites in Geochang and Hapcheon areas. The directions of the long axes of these three specime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three planes. First, The chart, showing the scaling characteristics of three graphs related to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of R, G and H specimens, were made. The graphs for the three specimens, along with the increase of strength,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 < G < R. The angles of inclination of the graphs for the three specimens, suggesting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texture within the specimen, were compared. The above angles for H specimens(θH, 24.0°~37.3°) are the lowest among the three specimens. Second, the scal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hree graphs of RG, GH and RH specimens,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the mean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two specimens, were derived. These three graphs, taking the various N-shaped form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GH < RH < RG. Third, the correlation chart between the strength difference(Δσt) and the angle of inclination(θ) was made. The above two parameters show the correlation of the exponential function with an exponent(λ) of -0.003. In both granites, the angle of inclination(θRH) of the RH-graph is the lowest. Fourth, the six types of charts, show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kinds of compressive strengths for the three specimens and the five parameters for the two sets of microcracks aligned parallel to the compressive load applied to each specimen, were made. From these charts for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s, the mean value(0.877)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R2) for total density(Lt), along with the frequency(N, 0.872) and density(ρ, 0.874), is the highest. In addition, the mean values(0.829)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ssociated with the mean compressive strengths are more higher than the minimum(0.768) and maximum(0.804) compression strengths of three specimens. Fifth,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razilian tensile strengths measured in directions parallel to the above two sets of microcracks in the three specimens from Geochang granite were derived. From the related chart, the three graphs for these tensile strengths corresponding to the R, G and H specimens show an order of H(R1+G1) < G(R2+H1) < R(R1+G1).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three graphs for the tensile strengths and that for the compressive strengths are mutually consistent. Therefore,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three specimens are proportional to the three types of tensile strengths. Sixth,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three tensile strengths corresponding to each cumulative number(N=1~10) from the above three graphs and the five parameters corresponding to each graph, were derived. The mean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parameter from the 10 correlation charts increase in order of density(0.763) < total length(0.817) < frequency(0.839) < mean length(Lm, 0.901) ≦ median length(Lmed, 0.903). Seventh, the correlation charts among the compressive strengths and tensile strengths for the three specimens were made. The above correlation charts were divided into nine types based on the three kinds of compressive strengths and the five groups(A~E) of tensile strengths. From the related charts, as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s with the mean and maximum compressive strengths excluding the minimum compressive strength, the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 increases rapid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광물과 암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