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류응원 무덤 출토 木函의 성격과 의의 : 조선시대 禳鎭重喪法의 실제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wooden box from Ryu Eung-won’s tomb in the 17th century : The actuality of Yang Jin Jung Sang Beop in Joseon dynast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0.06
17P 미리보기
17세기 류응원 무덤 출토 木函의 성격과 의의 : 조선시대 禳鎭重喪法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65권 / 104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종철

    초록

    본 글의 목적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를 본향으로 하며, 전주류씨 진학재공파 4세손인 류응원(柳應元)의 무덤에서 출토된 목함(木函)과 주서(朱書)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있다. 발굴조사 이후 22년 동안 성격 미상의 함으로 보관되어 왔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목함 내부에 쓰여진 육경천형(六庚天刑)이라는 주서를 통해 세간에 알려져 있는 양진중상법의 실제로 파악하였다. 양진중상법의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분명하지 않지만,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실물자료로 학계에 보고된 일이 없어 류응원의 목함은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평가된다. 그 학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함은 1637년의 것으로 연대가 확실한 첫 고고학적 사례이다. 둘째, 종이가 아닌 목함 자체에 주서를 직접 썼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셋째, 류응원의 사망월이 음력 3월인데 기존의 육신천정이 아닌 육경천형으로 바뀐 것은 15세기 조선의 천문역법 등 과학 분야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을 가능성이다.
    류응원에 대한 자료의 부족으로 좀 더 밀도 있는 접근이 시도되지 못한 점과 양진중상법의 구성원리 및 언제, 어떤 경로를 통해 보급되었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향후 과제로 돌리고자 한다. 앞으로 이러한 고고학적 사례들이 더 많이 축적되어 양진중상법의 해상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고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red letters(朱書) and the wooden box excavated from the tomb of Ryu Eeong-won who a member of Jeonju Ryu Family. This is a meaningful work in terms of the box of unknown identity which has been stored for 22 years after the excavation.
    I have identified it as ‘the actuality of Yang Jin Jung Sang Beop(禳鎭重喪法)’ through the red letters 「六庚天刑」 written inside the wooden box. The origin of Yang Jin Jung Sang Beop is not clrar. but it is believed to have been delivered in ancient China. The wooden box of Ryu Eeong-won is especially valued as an important resource because it has not been reported to academia. Its academic meaning is as follows. First, It is the first time to know the age. Second, it is special in that it was written directly on the wooden box, not on paper. Third, 「六庚天刑」 in the box can be related to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Joseon in the 15th century.
    I did not have a deeper approach due to the lack of data on Ryu Eeong-won. And I could not tell when and how Yang Jin Jung Sang Beop was spread. I will make this problems a future task. Finally I hop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Yang Jin Jung Sang Beop by accumulating more archaeological cas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