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現 대중문화의 역사적 의의 및 중국 대중문화로서 지속가능한 韓流의 모색 (In Search of the Sustainable Korean Wave in Terms of Chinese Popular Culture and its Historical Meaning of Contemporary Chinese Cultu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4.06
25P 미리보기
중국 現 대중문화의 역사적 의의 및 중국 대중문화로서 지속가능한 韓流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0권 / 343 ~ 367페이지
    · 저자명 : 안인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서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은 자국의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국의 문화상품뿐만 아니라 외국의 문화상품에도 획일적인 규제 조치에 기초해 있다. 그것은 중국 정부 스스로 구상하는 ‘중국 문화’의 대중화(대중문화를 포함한)를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을 건설하겠다는 의도를 보여준다.
    중국에서 대중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은 곧 대중문화를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한다는 의미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 정부의 규제 조치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자국의 문화상품에 대한 규제에는 전통과 현대, 그리고 외국 문화상품에 대한 규제에는 중국과 서구라는 대립적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대립적 인식, 즉 반서구화와 서구화의 대립은 중국 현대 사상사를 관통하는 문제다. 따라서 중국 정부의 실질적 규제 조치는 단순한 보호주의 정책이라는 의미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상당 기간 안정적이고 완고한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와 반서구화 지식인들이 문화산업의 정책적 측면에서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면, 한류의 지속가능성은 이러한 중국 내부의 대립적 인식 구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우선 중국에서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라는 기존의 관념을 탈피해야 한다. 한류가 ‘한국’을 강조하면 할수록 소비자인 중국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중국’이 부각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결국 반서구화와 서구화라는 기존의 중국 내부 프레임에 갇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함께 중국 지식인 사회의 담론 지형에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이 중장기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것은 곧 반서구화 진영이 힘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현 담론 지형의 변화를 의미한다. 중국 사회에서 한류(또는 외국 문화상품)에 우호적인 담론이 더 많이 생산될수록 그로부터 형성된 여론은 기존의 담론 지형(또는 그것의 구체적 반영인 규제 조치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continuous possibility of the Korean Wave in China. Although China is willing to develop its cultural industry, policies of cultural industry by Chinese government have been still based on undifferentiated regulations of foreign cultural products, as well as its domestic cultural products. It shows that Chinese government has the intention to build Chinese cultural industry through popularity of 'Chinese culture', including popular culture, which Chinese government itself plans.
    Historical approaches to popular culture in China mean being equal to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in the humanities perspective. In this respect, regulations by Chinese government need to be inspected in more fundamental perspectives. In other words, in China opposite recognition is rooted that regulations of its domestic cultural products include tradition vs. modernity and those of foreign products contain China vs. the West. This opposite recognition is the issue to penetrate Chinese modernism history. It indicates the opposite of westernization and anti-westernization camp. Therefore, actual regulations by Chinese government will hold out a position with consistent and stubborn policy principles in the future, as well as meaning simple protectionism. Chinese government and anti-westernization intellectuals remain a symbiotic relation in terms of cultural industry policy. The Korean Wave must be reviewed, understanding this opposite recognition in inner China. First of all, the Korean Wave in China has to escape an existing idea, ‘Korean popular culture'. If the Korean Wave emphasizes on ‘Korea’, it cannot emerge as 'China' to Chinese consumers, respectively. In the end, it results in being trapped in the frame of existing inner China that is westernization and anti-westernization.
    In addition, long-term strategies to intervene into discourse in the inner society of Chinese intellectuals should be considered. This explains a change in contemporary discourse that anti-westernization camp is superior. The more positive public opinions of the Korean Wave(or foreign cultural products) are, the more direct effect they have on an existing discourse(or regulations influenced from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