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어 어중음첨가의 통시적 접근과 기제 정립 - ‘chambre’류의 단어를 중심으로 (Les paramètres des consonnes épenthétiques en ancien françai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프랑스어 어중음첨가의 통시적 접근과 기제 정립 - ‘chambre’류의 단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어불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138호 / 199 ~ 226페이지
    · 저자명 : 우현희

    초록

    이 글은 프랑스어의 ‘chambre’류의 단어들로 알려진 통시 어중음첨가(épenthèse)에 대해 지배음운론과 기술음운론의 견해를 고찰하여 그 기제를 밝히고, 그 과정을 앞선 두 이론을 통합하여 단일 원리로 해설함으로써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랑스어에서 파열음(occlusive) 계열의 [p], [t], [k]가 비음(nasale)이나 치조마찰음(alvéolaire fricative)의 연속, 혹은 비음과 유음(liquide)군 사이에 놓이는 현상을 어중음첨가라고 한다.
    해당 자음군에서 파열음이 첨가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지배음운론과 기술음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각 이론이 표방하는 관점과 해석의 차이를 먼저 살펴본다. Kaye, Lowenstamm, Vergnaud(1985, 이하 KLV)의 지배음운론에서는 분절음의 구성요소(ELEMENT)를 제시하여 그 성질을 밝히는데, 자음의 경우 그 구성요소가 많을수록 분절의 복잡도(complexité de segmentale)가 높다고 판단한다. 기술음운론(phonologie du gouvernement)에서는 KLV(1985)가 제시한 자음 구성요소의 표상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공명도(sonorité) 위계에 따른 운율(prosodique) 구성을 체계화하였다.
    이 연구는 1)KLV(1985)가 분절음을 표상하는 방식인 구성요소와 음절 내·외부를 구분하고, 공명도에 기초한 기술음운론의 관점을 받아들여 어중음첨가를 해석하고자 한다. 2)첨가되는 자음의 조음점(position articulatoire)과 유·무성(voisée ou non voisée)을 포함한 조음방식(mode articulatoire)에 대해 지배음운론과 기술음운론의 견해를 통합, 어중자음첨가 현상의 기제를 단일화하여 제시한다.

    영어초록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analyser l'épenthèse dans une perspective diachronique en se fondant sur la phonologie de gouvernement et la phonologie déclarative. Notre recherche nous amène à analyser des mots modernes tels que « chambre » ou « être », et à présenter le processus de manière théoriquement simplifiée, en proposant une synthèse des deux théories mentionnées.
    En utilisant les bases de données des études de Buridant et al. (2000) et Englebert (2009), nous examinons l'ajout de consonnes occlusives qui succèdent à des traits de phonèmes concaténants, surtout dans une séquence « nasale ou spirante » et « liquide ». Pour illustrer des schémas synchronisés du processus d'ajout des consonnes occlusives, nous nous appuyons sur les concepts de « ELEMENT » et de « échelle de sonorité » centrés sur la théorie de KLV (1985) et Angoujard (1997, 2006).
    De plus, nous proposons un modèle qui consiste en l’ajout d'une consonne médiane suivie de la fusion ou de la propagation de « ELEMENT » spécifique. Ces données révèlent que la structure interne des phonèmes, principalement discutée en phonologie de gouvernement mais révendiquée par la phonologie déclarative, est pertinente pour expliquer la création et la disparition des phonèmes.
    En raison de leurs environnements phoniques, certains segments en contact les uns avec les autres donnent lieu à la création de nouveaux sons, et le processus par lequel les consonnes affectants disparaissent n'est pas seulement lié aux phénomènes d'addition du phonème. En plus de l'ajout et de la suppression de la consonne, cela peut également aider à expliquer les limites et la structure interne des syllab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어불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