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류’ 앤솔로지의 다시쓰기, 그 이중의 검열회로 『女流短篇傑作集』(1939) 연구 (Rewriting in a Women Writers’ Anthology, its Double Censorship Circuits a study on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1939))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7.02
42P 미리보기
‘여류’ 앤솔로지의 다시쓰기, 그 이중의 검열회로 『女流短篇傑作集』(1939)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81권 / 160 ~ 201페이지
    · 저자명 : 손성준

    초록

    『女流短篇傑作集』(조선일보사 출판부, 1939)은 단행본의 형태로는 한국에서 처음 나온 여성작가 단편소설집이지만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된 바없었다. 이 글은 『女流短篇傑作集』의 출판 경위, 구성, 내적 기조 등을 고찰하고, 최초 발표 지면과의 텍스트 비교를 통해 다시쓰기 양상을 집중 분석하였다. 『女流短篇傑作集』은 식민지시기 문학의 각종 선집을 통틀어서도 가장 잔혹하고 어두운 서사들의 집합이었다. 『女流短篇傑作集』의이 같은 성격은 여성작가들에게 ‘여류다운’ 면모를 요구하던, 혹은 그들이‘작가다운’ 작품을 쓸 수 없으리라 폄훼하던 남성중심적 문단의 시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이었다. 한편 이러한 『女流短篇傑作集』의 비참한 현실 묘사는 그 자체로 식민지 검열과 불화할 잠재성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결국 『女流短篇傑作集』은 내부(주류 남성 작가)와 외부(식민지 검열체제)에대한 동시적 저항의 글쓰기였다. 이에 대한 의식 속에서 작가들은 비극적정서의 강화와 완성도의 제고라는 방향의 자기 검열적 다시쓰기를 수행하였고, 원고 검열로 인한 텍스트의 훼손에도 불구하고 1939년도를 즈음한 ‘합법적’ 문학이 표현할 수 있는 ‘불온성’의 최대치에 가까운 결과물을 남길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Chosun Ilbo Press, 1939) is the first one published in a separate book among collections of Korean women writers’ short stori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erious study about it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ublication circumstances, composition, and internal keynote of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 and focused analysis on the aspect of its rewriting by comparing its short stories with the original texts of their initial release.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 was a collection of the cruelest and darkest narratives among all literary antholog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intended character of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 was to confront head-on the perspective of the male-centered literary circle that demanded ‘womanly’ aspects from women writers or disparaged women writers’ ability to write works ‘worthy of a writer.’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miserable reality itself in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 had the potential for causing disharmony with the colonial censorship. After all, the Masterpieces Collection of Women Writers’ Short Stories was the writing of resistance to both the inside (the mainstream male writers) and the outside (the colonial censorship system). With being conscious of this, the writers engaged in self-censoring rewriting in a direction towards the strengthening of tragic sentiments and the enhancement of work completeness, and were able to leave results that were near the maximum of ‘rebelliousness’ allowed to be expressed with ‘legal’ literature in around 1939 despite damage to the texts inflicted by the manuscript censo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