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09년 『迎接都監米麵色儀軌』의중국 사신 접대 器皿類 (A Study on Items Prepared for the Chinese Envoys in Yeongjeop - dogam - mimyeonsaek - uigwe(迎接都監米糆色儀軌) in 1609 of Joseon Dynast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03
42P 미리보기
1609년 『迎接都監米麵色儀軌』의중국 사신 접대 器皿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4호 / 131 ~ 172페이지
    · 저자명 : 송인희

    초록

    조선시대 중국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 행사로, 그 준비는 오랜 시간을 두고 각종 의식과 실행에 의견을 조율하며 신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17세기 전반에는 사신단이 머무르며 생활하는 동안의 접대 내용을 『영접도감미면색의궤』에 상세히 기술했는데, 필요한 물품에는 음식과 차, 술의 각종 재료를 비롯해서, 향, 약, 횃불과 등불 기름, 땔감과 숯 및 각 방에 배설되는 유기, 사기, 목기, 도기로 만든 다양한 기물들이 포함된다. 각종 기물의 종류와 재질, 수량을 사용자의 지위에 따라 구분한 『미면색의궤』의 기록은 조선시대 왕실에 준하는 고급 공예품 사용의 단면을 드러낼 뿐 아니라 공예품간의 실제적인 위상 및 대체․보완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는 조선시대 고급 공예품의 제작과 사용 환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광해군 1년(1609)의 사신단 접대를 기록한 규장각 소장 『영접도감미면색의궤』의 기물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다양한 물품들은 크게 접대 준비 과정이나 사신단의 생활에 필요한 기구류와 접대시 사용되는 그릇들인 기명류로 구분되며, 특히 중요 접대 상대인 정사와 부사를 위한 ‘주색’과 ‘다색’에 여러 종류의 잔이 포함되어 주목된다. 이에 정사와 부사 접대용 주요 기명인 잔에 집중하여 그 구성과 특징을 관련 자료들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구체적으로 추정함으로써 조선시대 공예사 연구에서의 이해 기반을 넓히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a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high-class craftworks in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items from the Yeongjeop-dogam-mimyeonsaek- uigwe(迎接都監米糆色儀軌) in 1609.
    It is a record about the items prepared for the envoys and entourage during their stay in the guesthouse of Joseon. From the diplomatic importance, all the occasions and a broad range of supplies were prearranged carefully and the details of the service were compiled as references after they left. The existing records of Yeongjeop-dogam-mimyeonsaek-uigwe cover the reception of Chinese envoys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data is worth studying as an example showing the use of craftworks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According to the record, service items included foods, beverages, and supplies such as incense, charcoal, torchlight, medicine, etc. Vessels of brass, iron, ceramic, and wooden ware were also specified with their names, sizes, and materials, which were differentiated by the social status of users. Among the vessels of highest quliaty served to the envoys,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cups for wine and tea. They appeared with specific names indicating forms and materials but detailed research has yet to be done.
    By analyzing the record and related resources,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s of preparation for the items, especially vessels used to serve the envoys and entourage in the guesthouse. Comparisons with other pictorial evidences provided keys to embody the forms of cups that remained uncertain in the record only with their names, which makes it helpful to understand a part of craftworks used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