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創作에 대한 一考察 (A Study on Bamboo Poems of Chujae Cho Sus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秋齋 趙秀三의 竹枝詞類 創作에 대한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1권 / 445 ~ 47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죽

    초록

    본고는 추재의 竹枝詞類의 창작 경위와 목적, 그리고 그것이 당시 문단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경향을 띠는가에 대해 소략하게 논한 것이다.
    추재 조수삼(1762~1849)의 작품을 연구함에 있어 죽지사류의 파악과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는 조선 후기의 걸출한 한시작가로서 그의 문학작품 대부분이 詩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竹枝詞에도 특장이 있어 「外夷竹枝詞」, 「海甸竹枝詞」, 「上元竹枝詞」 등과 같은 작품을 남겼으며 竹枝調 로 쓰여진 「高麗宮詞」를 남기기도 하였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중반은 지식인들 세계에서 괄목할만하게 그 양이 팽창한 지식정보들을 기록하고 활용하는데 百科全書식 기록 방식이나 箚記體 양식 등이 선호를 받게 된 시기이다. 하지만 추재는 당시의 시정 풍속을 「紀異」라는 小傳과 漢詩의 결합이라는 독특한 양식으로 그려내었고, 異域에 대한 관심사는 「外夷竹枝詞」로 남겼다. 6차례에 걸친 연행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燕京의 풍정은 「海甸竹枝詞」로 그려내었고 심양문안사의 종사로 갔을 때는 「瀋陽雜詠」, 「瀋河雜詠」이라는 죽지사류의 형식으로 해당 지역의 정보와 기록을 대신하였다. 필자는 추재를 연구하면서 그가 상당한 필력의 소지자였음에도 그의 燕行體驗이나 그가 거쳐 간 공간과 인물에 대한 관심 등을 왜 산문이 아닌 ‘시’로서 표현하였는가에 대해 의문이 일었으며, 본 논문을 쓰게 된 동기도 여기서 출발한다.
    추재가 이렇게 다수의 죽지사류를 창작했던 이유는 당대 지식인 사회의 분위기와, 기속에의 욕구․연행이라는 독특한 행력이 겹쳐진데 있다. 또한 당시 竹枝詞 창작의 경향성에 있어, 中國의 죽지사의 흐름과 변화가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추재의 작품 역시 이러한 궤를 함께 한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을 감안했을때, 필자의 管見으로는 추재가 한시 작품으로 문학적 완성도를 추구하면서도 정보 전달이라는 당시 시대의 요구에 응할 수 있는 형식이 죽지사류라 인식했던 것은 아닌가 여겨진다.
    연구가 一淺하여 추재가 죽지사류의 작품들을 창작하게 된 궤적을 살피느라 작품 개개의 精緻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후일 동시대 문인들의 죽지사류 작품과 함께 견주어 면밀하게 연구해야 할 필요를 절감한다. 때문에 본고는 추재의 죽지사류 작품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 첫 단추에 해당한다고 여겨, 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무게감을 실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brief inquiring into the writing process and its purpose of Bamboo poems of Chujae Cho Susam, and pursuing its meaning and position in the literary circle of that time.
    As for the works of Chujae Cho Susam(1762~1849), the study and analyses of Bamboo poems is critical. As an eminent poet of the late Chosun dynasty, almost of his works consists in poems and, in particular, he is very good at Bamboo poems such as 「Bamboo poems of Barbarians」, 「Bamboo poems of the Near-Ocean」, 「Bamboo poems of Full moon Day」, and 「Palace poem of Koryo Dynasty」 written in Bamboo poem tone.
    At large from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y, quantities of knowledge were explosively expanded and the intellectuals tended to write information/knowledge by the form of encyclopediac and memoranda style. Chujae, however, wrote 「Record of the Extraordinary」 which depicted the lives and customs of folks by adopting the form of combining prose with poem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His works like 「Bamboo poems of Barbarians」 for his concern on foreign lands, 「Bamboo poems of the Near-Ocean」 for his six-time travel to Yenching, 「Various poems of Shenyang」 for his travel to Shenyang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Bamboo poem tone and with its form he alternatively recorded new information/knowledge on his own way. Why, in spite of his abilities of writing, did he write all of his experiences and concerns in poems, not prose?
    His inclinations to Bamboo poems were explained through three elements: social atmosphere, his desire for the lives and customs of folks, and travel to Yenching.
    And one more, impacts from traditional Chinese Bamboo poems. Simply put, his unique careers and social situation made him pursue not only literary accomplishment but also information delivery and accordingly he took a choice of a form of Bamboo poems, which was a kind of response to task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