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마도 宗家文庫 소장 한글 書簡類에 대한 기초적 연구 (Basic Research on hangeul Correspondences of Soke Bunggo in Tsushim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5.02
34P 미리보기
대마도 宗家文庫 소장 한글 書簡類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3권 / 127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주필

    초록

    本 硏究에서는 일본 오사카대학의 岸田文隆 교수가 2009년부터 2012년에 걸쳐 對馬島 歷史民俗博物館 宗家文庫 所藏의 한글 書簡類, 즉 한글 便紙 87통과 한글 覺書 26통 등 총 113통에 대한 기초 사항을 정리하고 便紙와 覺書의 特性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書簡類의 資料的 價値를 밝혀 관련 분야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한글 便紙는 崔鳳齡 1통(1761년), 朴俊漢 10통(1795~1798년), 朴致儉 4통(1798~1803), 최경 7통(1800~1805), 崔國禎 6통(1798~1805), 玄烒 16통(1802~1806), 玄義洵 39통(1806~1808年), 崔昔 1통(1807년), 기타 4통 등 87통이고, 한글 覺書는 최수인 2통(1760년), 朴俊漢 6통(1795년), 小田幾五郞 13통(1806~1807), 기타 5통으로 총 26통이었다. 이들 便紙나 覺書는 대부분 1795년대에서 1808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서, 그 내용은 당시 조선과 일본 사이의 최대 외교 현안이었던 朝鮮通信使 派遣 문제, 즉 對馬島 易地通信과 직․간접으로 관련된 것이었다.
    이들 書簡類의 形式은 조선시대의 便紙와 같았지만 세부적으로 약간씩 차이가 있었다. 한글 便紙의 경우, 發信者와 受信者의 이름 대신에 職位나 職責이 기재되어 있고 發信者 뒤에 도장을 찍었다. 覺書의 경우, 便紙와 거의 같았지만 첫인사 부분과 마무리를 생략하고 본문 내용을 話題別로 나누어 個條式으로 작성하였으며, 受信者를 發信者 뒤의 위치에 써서 오늘날의 외교문서와 유사하였다. 특이한 것은 便紙와 覺書 모두 受信者나 發信者가 2인이나 3인인 경우도 보이며 그럴 경우 복수의 受信者나 發信者를 직위 순으로 기재하였으며 發信者의 職位 뒤에는 圖章을 찍었다. 이들 便紙나 覺書 모두 發信者가 스스로는 가능한 한 낮추고 受信者를 최대한 존중하는 비언어적․언어적 표현을 사용하는 조선시대 格式體의 典型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특징은 이들 便紙와 覺書가 역관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작성한 외교 實務文書의 性格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특성을 보여주는 대마도 종가문고 소장의 이들 書簡類는 조선의 왜학 역관과 일본의 조선어 통사가 외교의 창구에서 주고받은 실무적인 문서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후기 국어사, 국어 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되며, 조선시대 후기 조선과 일본의 외교 문제, 동래와 대마도를 통하여 부산의 초량 왜관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 역관의 임무와 사명, 朝鮮通信使 관련 교류 문제 등 관련 분야에도 역사 문헌을 중심으로 진행된 이전 연구에서 볼 수 없었던 역사 기록의 이면을 생생하게 보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s at the basic information of 87 letters of hangeul, 26 letters of hangeul kakseo with overall 113 letters etc., housed in the Soke Bunggo in Tsushima, which was conducted by the professor Kisida Humitaka in Osaka University from 2009 to 2012. Besides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value of those correspondences by examin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tter and kak-seo to give help to the research on those related field of study.
    The correspondences are consist of hangeul letters and kakseo; the former one has l letter of Choi Bongryung(1761), 10 letters of Park Junhan(1795~1798), 4 letters of Park Chikum(1798~1803), 7 letters of Choi kyung(1800~1805), 6 letters of Choi Kukjung(1798~1805), 16 letters of Hyun Shik(1802~1806), 39 letters of Hyun Euisoon(1806~1808), 1 letter of Choi Seuk(1807), 4 letters of etc. with overall 88 letters; the latter hangeul kakseo has 2 letters of Choi Suin and Yi Myunghwa(1760), 6 letters of Park Junhan(1795), 13 letters of Ota Ikukoro(1806~1807), 5 letters of etc. with 26 letters in total. Most of those letters and kakseo are written in 1795 to 1808,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ences are about the diplomatic issues, the dispatch problem of Joseon delegation to Tsushima.
    The form of those correspondences are alike the one had written in Joseon, ye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as well. In case of hangeul letter, they used their position or title and stamp their seals at the end of the sender, instead of using the name of the sender and the receiver. For kakseo, most of the forms are similar to letters, but it omits the first greeting parts and the last, and it splits the body into the topics, besides it is naming the sender at the back of the receiver, as if nowadays diplomatic documents. Interesting point was that those correspondences, letter and kakseo, had sometimes two or three sender or receiver, and when it came from or to several people, it was ordered by their position; and stamp their seal at the end of the sender's position. Those features tell us that the letters and the kakseo had characteristcs of practical document when yokkwan performed their diplomatic work.
    Since the correspondences, housed in the Tsushima Soke Bunnggo, are practical and dynamic document communicated with Joseon Waehak diplomat of Japan and Japanese delegate of Korea at the diplomatic counter, we expect these can provide u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 at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life.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rrespondences can show us the hidden side of the history which might have not been found in the previous document based historical studies;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the diplomatic issues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the communication of Waekwan(Japanese Diplomatic Town) in Choryang, Busan, via Dongrae and Tsushima, and the duty and the mission of the yok-kwa, and the exchange problems on Joseon delegation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