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문헌에 나오는 음료용(飮料用) 장류(漿類) 음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Beverages of Buddhist Food in Buddhist Cannon of a Chinese Vers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3.12
22P 미리보기
불교 문헌에 나오는 음료용(飮料用) 장류(漿類) 음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9호 / 297 ~ 318페이지
    · 저자명 : 김미숙

    초록

    불교 문헌에 나오는 음료 식품인 장류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냈다.
    첫째, 8종의 장류는 출전 문헌에 따라 그 세부 목록들이 매우 다양하며 일치하지 않는다.
    둘째, 8종 장류의 세세한 목록의 차이는 문헌이 성립된 지역의 특산물과도 적지 않은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이 점은 『대당서역기』를 비롯한 여러 종의 인도 기행문에 언급된 장류의 목록과 대조해 볼 때 더욱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셋째, 장류 음식에 대한 엄밀한 규제는 불음주계가 그 배경으로 자리한다. 왜냐하면 장류는 그 보관 기일에 따라 발효의 상태가 달라지고 주류(酒類)와의 경계도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넷째, 엄격하게 금지되었던 것은 주류이고 장류가 아니었다. 따라서 주류와 장류의 구분을 명료하게 해야 한다. 특히 우리말 번역어를 선택할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장을 술이라고 번역해서는 안 된다.
    다섯째, 인도의 기후 환경 때문에 수행자의 기본 절식(節食) 규칙과는 별개로 특정 음료에 대한 규율은 보다 더 유연하게 허용할 필요가 있었고, 그에 따라 8종 장류를 특정한 시간에도 허용한다는 별개의 규율이 제정되었다.
    여섯째, 인도는 지역에 따라 언어가 달라서, 동일한 식물에 대한 명칭이 매우 다양하다. 불전(佛典) 특히 율장의 성립 배경 또한 그 점에서 예외가 아니다. 그러므로 불전에 등장하는 8종 장류의 명칭을 비롯한 음식의 이름, 음식의 재료 등은 면밀한 음역어 연구가 매우 긴요한 작업이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영어초록

    Food is the basic necessity of human life. In ancient times Indian Buddhist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food.
    In Buddhist Cannon, especially the literature on Vinaya of a Chinese version there are rich contents of food and regular mealtimes and the other rules of food and to take a meal.
    At First, there are four categories, khajja, bhojja, leyya and peyya of Buddhist food in Buddhist Cannon. That is hard food, soft food, mucilaginous and drinkable food.
    Among eatables and drinkable food, eight kinds of pāna, namely beverages,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especially in the literature on Vinaya, but we couldn’t know for certain those names.
    In this paper, upon investigation for the most part of the Vinaya literature of a Chinese version, I analyze eight kinds of pāna. I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are many trees, fruits, floras, plants of the main ingredients of pāna.
    For instance, eight kinds of pāna is made of kapittha, sālūka, kumuda, jambu, phārusaka, badaramissa, kolodaka(jujube), moca(banana), aśvattha, coca(cinnamon ; plantain), guḷa, guḷodaka(brown sugar), mṛdvīkā, muddikā(vine), ucchu, guḍa(sugar cane), āmra, amba(mango), cūta, aṃbila, amla-cūḍa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