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Seasonal customs and folklore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0.11
48P 미리보기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4호 / 7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주지하다시피, 문물전장제도 전반에 대해 박물학적이고 박학다식한 관심을 반영한 류서류는 임란 직후부터 조선조 학인들의 새로운 저술 방식으로 등장하여, 조선조 지식정보의 원천 역할을 하였다. 이 글은 바로 이 조선중후기 류서류 중 민속문화자료를 상대적으로 많이 담고 있는 5종의 류서 편찬물을 대상으로 삼아, 여기에 나타난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문제를 다룬 논문이다. 이것은 현재 우리에게 전승된 세시풍속의 자료적 준거가 어떻게 구성되었고, 어떤 흐름을 타고 전개되었던 것인가를 해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민속학이 현장연구가 강점인 것에 보태어, 그 현상의 문헌적 준거를 더욱 면밀히 확보함으로써, 우리 민속문화 현상의 체계성을 제고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지봉유설, 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송남잡지 등은 인용빈도가 높은 조선 중후기 주요 류서류들인데, 당시 풍속으로 전승되는 여러 세시풍속들에 대해 유래와 근거 등을 수록하고 있다. 대개 중국의 당원명청대 전거를 끌어당기는 내용이 많으며, 때로 今俗 또는 東國 舊俗이란 단서를 달아 자신의 시대에 유행하였거나 우리 역사에 근거한 해명을 실으려 노력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 그렇지만 더러 「시령부」, 「세시류」 등의 류문을 세우기도 하였지만, 중국 류서류에 비해서는 독립된 세시 류문을 수립하여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천착한 측면이 떨어지는 한계가 보인다. 그럼에도 예컨대 지봉유설의 경우 시령부를 지리부의 앞에 그리고 천문부의 바로 뒤에 편장시킴으로써 우리 삶 속의 시간이 다름 아닌 하늘에서 내려준 것이라는 전통적 상천수시사상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근대적 시간관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간관과 세계관 위에서 세시의 여러 절속들이 다양한 원천과 내원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향유되고 기려졌던 현상들임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studied about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what we called the Ryuseoryu texts, written by many of Ch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Ryuseoryu texts appeared first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the middle Choseon dynasty. Those texts had a role as a source of intellectual informaton to Choseon people. This my research show us how our seasonal customs are passed down untill recent our soceity. The recent folklore study has a strong point to fieldwork survey, in addition to that, here I tried to improve the textual understanding of our folklore phenomena through the wide references of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I select five main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Jibong- yusul, Sanlim-gyengje, Sungho-sasul, Ojuyenmun-jangjensango, Songnam-japji. These texts contain many of references, histories and stories about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t that time. It’s important they sometiems stated to a term of now folklore or our old folklore of East country, etc.. This show us their contemporary information of seasonal folklore well.
    And their texts were written in basis of a kind of traditional calendar system. In this idea of traditional time we can read the people at that time considered as the time was given from the sacred heaven. Their seasonal customs also based on that traditional time idea. As stated in my article, it is important that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shows us their diverse features of seasonal customs life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