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꺅도요류의 도래현황과 외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Migration Pattern and Morphological Study on Snipes (genus Gallinago) in South Ko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7.12
13P 미리보기
꺅도요류의 도래현황과 외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류학회II
    · 수록지 정보 : 한국조류학회지 / 14권 / 2호 / 77 ~ 89페이지
    · 저자명 : 박종길, 원일재, 채희영

    초록

    본 조사는 꺅도요류의 도래현황과 종간 외형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대흑산도 북쪽에 위치한 배낭기미습지에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꺅도요(Gallingo gallinago), 바늘꼬리도요(G. stenura), 꺅도요사촌(G. megala)의 3종 555개체(봄 217개체, 가을 338개체)가관찰되었으며, 이중 3종 113개체를 포획 조사하였다. 포획 개체의 종 구성은 꺅도요 51개체, 바늘꼬리도요 46개체, 꺅도요사촌 16개체였다. 꺅도요류 3종의 통과시기에 있어서 종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봄철 꺅도요는 3월 13일 처음 모습을 보였으며, 꺅도요사촌은 1개월 후인 4월 12일에, 바늘꼬리도요는 4월 25일에 관찰되었다. 남하시기에는 바늘꼬리도요가 8월 8일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고, 8월 22일에 꺅도요가 그 뒤를 이었으며, 8월 23일에 꺅도요사촌이 도착하였다.
    꺅도요사촌과 바늘꼬리도요는 봄․가을 개체수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바늘꼬리도요는 봄 북상시기에 19개체가 통과하였지만 가을 남하시기에는 134개체가 통과하였다. 반대로 꺅도요사촌은봄에 56개체가 통과한 반면, 가을에는 8개체가 통과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꺅도요사촌 수컷은 20장의 꼬리깃을 가지며, 암컷은 18장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수컷의 꼬리 길이가 암컷보다 뚜렷하게 길어 큰꺅도요(G. hardwickii)와 거의 같은 길이로 나타났다. 이같은 차이는 꺅도요사촌이 성적 이형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였다. 18장의 꼬리깃을 가지는 꺅도요사촌암컷은 크기가 수컷보다 크고, 외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가락지 부착조사에서 조차도 큰꺅도요와구별이 매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외형적인 특징, 꼬리깃 수만으로 꺅도요사촌과 큰꺅도요의 구별은 불가능하고, 꼬리깃 형태와 측정자료 비교, 분석을 통해서 종 동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큰꺅도요가 포획되지 않아 한반도 서부에서는 희귀하게 통과하거나, 일부 지역에 한하여 통과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국내 큰꺅도요의 분포권, 도래실태, 동정방법에 대한 재조명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Specific differences in timing of migra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ce among four Snipes were monitored at Baenanggimi reed-bed, northern part of Heuksando Island (34°41′N, 125°2 5′E) from early May to late October 2007. We monitored a total of 555 individuals (217 in spring and 338 in autumn) of three snipe species the Common Snipes (Gallingo gallinago), the Pintail Snipes (G. stenura), and the Swinhoe's Snipes (G. megala) and ringed 111 individuals (51 Common, 46 Pintail, and 16 Swinhoe's Snipe) by mist-netting survey. The timing of mig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pecies. In Spring, the first observation of the Common Snipe was on 13th March, about one month earlier than that of the Swinhoe's and the Pintail Snipes. The Swinhoe's and the Pintail Snipes were seen on 12th April and on 25th April, respectively. In Autumn, the Pintail Snipe was firstly observed on 8th August, the Common Snipe on 22th August and the Swinhoe's Snipe on 23th August. The Common Snipes stayed until early November and then all moved away. The population sizes of the Pintail and the Swinhoe's Snipes were different between spring and autumn migration. In spring the Pintail Snipe were not common, but it was abundant as the Common Snipe in autumn. Conversely, the Swinhoe's Snipe were common in spring and rare in autumn. Generally, the male Swinhoe's Snipe had 20 rectrices and the female had 18. The rectrices of male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female, and were almost same length as those of the Latham's Snipe (G. hardwickii).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Prater (1977) and Hayman et al.(1986). We suggest that the Swinhoe's Snipe has sexual dimorphism like the Latham's Snipe. There is reasonable possibility of mis-identification between the Swinhoe's Snipe with 18 rectrices and the Latham's Snipe even in hands. Actually, the identification was very difficult both in fields and hands. So, the patterns of rectrices, numbers of rectrices and measurements data were examined for correct identification in the lab.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Latham's Snipe are probably a very rare passage migrant, at least in western parts of Korea. More intensive surveys on its distribution, status and identification are still needed in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