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哀祭類의 갈래 성격과 글쓰기 특성 (Nature for classification and writing toward Elegy for praising the dead)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09
20P 미리보기
哀祭類의 갈래 성격과 글쓰기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48호 / 209 ~ 228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철

    초록

    본고는 한문학 자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애제류 산문의 갈래를 정리 분석하고, 그 각각의 갈래들이 지니는 연관성과 개별적 특성을 정리하여 우리 한문학사에 나타나고 있는 애제류 문장의 글쓰기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哀에 속하는 哀辭, 弔辭, 誄文 悲文, 傷辭, 輓辭, 挽歌, 冊(哀冊, 諡冊), 哀贊 등과, 死者와 天地, 山川, 宗廟, 社稷, 諸神 들을 대상으로 기원하는 祭에 사용된 盟, 齋詞, 願文, 醮辭, 贊饗文, 靑辭, 祭文, 祝文, 告祭, 招魂, 告文, 祈文, 冊(祝冊,祭冊), 玉牒文, 表本, 上梁文, 上牌文, 道場榜, 道場疏, 疏語, 齋文, 靑詞, 告牒, 投簡, 解語, 嘏辭, 禱 등과 같은 다양한 문류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애제류 문장들의 형식과 수사는 전통성과 전범성을 우선시하는 문체 특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일정한 형식과 투식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관습처럼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亡者를 애도하는 哀冊이지만 문체특성은 祭文에 가까운 「拜昌陵竹冊文」, 문장의 내용과 효용성에 적합한 檄文이라는 갈래 대신 死者에게 쓰는 祭文이라는 갈래를 선택하여 창작함으로서 우회적으로 문장의 효용성과 의미 그리고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한 「祭蘇頲方將軍文」, 조선전기 『동문선』 편찬자들이 지녔던 애제류 갈래분류의 관점을 보여주는 「天王院齋詞」같은 작품들은 애제류 문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한 매우 의미 있는 작품들로 평가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mainly on arranging and analyzing several parts toward Elegy for praising the dead appeared in a variety of Chinese literature materials, moreove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shown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through explaining for several parts of Elegy that have implicit associations and its own peculiarities.
    As a result, we look at it in a variety of types of article that grief comprises as follows; elegy, eulogy, a song of lamentation, epitaph, mourning, Mansa (輓辭:writing for showing one's regret at a person's death), a funeral song, Chek(冊), a song of praising at a person's death, etc. and ancestral rites, wishing the dead, heaven and earth, mountains and streams, royal ancestral shrine, the guardian deities of the State, are affiliated with as follows; a vow, words for a service performed for the repose of a soul, optative sentences, a book made in Chu era, eulogy, letters for calling the spirit of the dead, a funeral oration, written prayer, invoking god's blessing and performing a rite of worship, invocation of the spirit of a deceased, archaic texts, optative sentence, Chek(冊), Okcheopmun(玉牒文), Pyobon(表本), writing when putting up the ridge beam, writing when praising king's meritorious deed, place for achieving spiritual awakening, writing for cultivating oneself morally or religiously, annotating what Buddha said, writing for praying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writing for calling the spirit of the dead, writing for appeal, sending a contributi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god-given congratulatory message to mourner, prayer, etc.
    Although far beyond form and rhetoric of sentences written in Elegy for praising the dead certainly and put ahead of traditionality and a standard, and this form and tone continue to the present time, further, a book toward mourning the deceased, characteristic of style is selected and written based on the form of a funeral oration for the dead instead of a manifesto appropriated to contents and the utility 「拜昌陵竹冊文」 related to a funeral oration. Through maximizing utility and meaning of sentences and its effect indirectly, we highly esteem work of 「祭蘇頲方將軍文」 shown a variety of classification Elegy for praising the dead, at the same time, had compilation committees 「天王院齋詞」 and 『Dongmunseon(東文選)』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s a meaningful work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style of Elegy for praising the d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