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당내력』류(類)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 (A study is on significances of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3
28P 미리보기
『무당내력』류(類)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50호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변지선

    초록

    이 연구는 ‘『무당내력』류(類)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무당내력』류(類)’란 서울대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당내력』(가람古본, 古본)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된 ‘무당성주기도도’,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녀연중행사절차목록』등을 가리킨다. 이 자료들의 제작시기는 19세기 말로 추정되며 서울굿의 굿거리를 그림과 해설로 기록한 것이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는 대개 최영장군을 모시는 대거리 이후에 연행되었다. 별성거리에 그려진 무당은 조선시대 군복을 입고 언월도와 당파창을 들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따르면, 별성은 원래 단군의 시신인 고시례였으나 당시의 무당들은 사도세자를 모신다고 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라 비판하였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무당내력』류 자료의 별성거리는 이들 자료의 제작시기를 추측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등장하는 ‘별성거리’의 ‘별성’은 사도세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사도세자 사후에 제작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별성거리에서 무당이 입고 있는 복식과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숭된 연도를 살펴볼 때 서울대 규장각 소장 『무당내력』은 1885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를 살펴보면 서울굿 신격 중 별성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기술된 해설에 따르면, 별성거리의 별성은 원래 단군의 시신 고시례였다가 최영장군을 배행할 때 모시는 ‘사도세자’라고 하였다. 현대 서울굿 별성거리에서도 ‘별성’과 ‘별상’이 혼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별성’이라는 신격은 항상 변화가 있었던 신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에는 사도세자에 대한 신앙양상이 나타나 있다. 우리 무속에서 현세에서 억울한 죽음을 당한 귀인을 무속의 신으로 숭앙하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사도세자 역시 그러한 예로 볼 수 있다. 사도세자 사후, 사도세자에 대한 신앙은 기층민들에 의해 성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 기득권층은 1899년에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숭하였고 종묘에 그 신주가 안치되었다. 또한 별성거리에는 생전 사도세자의 성격과 외양이 구현되었다. 별성거리에서 무당이 군복을 입었다는 것은 별성거리에 등장하는 신격이 군인과 관계있음을 나타낸다. 조선시대에 언월도는 기병의 무기이며 당파창은 보병의 무기이다. 따라서 별성거리의 그림에서 무당이 입고 있는 복식과 들고 있는 무구는 조선시대의 군인 중 기병과 보병을 관리하는 높은 직위와 능력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are 『Mudangnaeryuk』 in Seoul university Kyujangkak, and 'Mudangsungjukidodo' in Seoul university museum and 『Munyou-younjunghaengsajeolcha-mokrok』 in Dankuk university Sukjuson museum. The aim of this materials are that performance aspects of Seoulguk on Joseon period appear to the reader. The aim of this materials is performance aspect of Seoulguk on Joseon dynasty period by illustration and explanation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has been the next on Deakeori for general Choi young. A shaman in Byulsungkeori dressed up military uniform of Joseon period. And the shaman holds a scimitar and a trident. According to explanation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Byulsung(god of Byulsungkeori) is retainer of Dangun. But shaman's opinion that Byulsung is Sadoseja.(a sad crown prince of the Joseon Dynasty).
    The meanings of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are follows.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is clue of production year. Because Byulsung is Sadoseja. Therefor, estimate production year is since Sadoseja died. 『Mudangnaeryuk』 in Seoul university Kyujangkak's product year is 1885. Because a shaman's clothes made in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is 1885. And Sadoseja become a king 1899 by king Kojong.
    Byulsung is observered of an aspect in Byulsungkeori of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According to 『Mudangnaeryuk』, Byulsung is Gosirea. Gosirea is a vassal of Dankun. Byulsung is used mixed with Byulsang in Byulsungkeori of morden Seoulgut. Therefor, Byulsung's character is changing God in Seoulgut.
    Faith for Sadoseja appearances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Since Sadoseja died that faith for Sadoseja is prevalent by the public. The Establishment crowned him as a honorary king, Jangjo. And Sadoseja's spirit tablet illustration enshrining in Jongmyou. Sadoseja's character and appearance express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Military uniform and weapons are symbolize high position in military. A scimitar symbolizes a cavalry, a trident symbolizes a infantry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