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 중하류역 송국리문화의 성격 (The Character of Songgukri Cultur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금강 중하류역 송국리문화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7권 / 3호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이기성

    초록

    송국리문화의 지역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들어 각 지역에서 많은 수의 유적이 발견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기원설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논의가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는데, 그러한 와중에도 금강 중하류역이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이라는 명제는 변함없이 공통된 인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에 송국리문화를 특징지우는 모든 요소가 갖추어진, 도작농경을 배경으로 하는 전형적인 취락들이 집중되어 있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그러나 실제 금강 중하류역의 송국리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그리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금강 중하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 양상, 송국리문화 취락들의 문화 요소, 원형주거지와 방형주거지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금강 중하류역은 청동기시대 전기의 역삼동ㆍ흔암리유형의 집단에 의해 금강 북편의 일부 지역만이 점유되었다가, 이후 서해안지역에서 금강 하류역의 서천 지역을 거쳐 들어온 서로 다른 두 집단, 즉 역삼동유형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장방형주거지의 전통을 유지하는 집단, 새로운 주거 형식을 채용한 집단의 두 집단이 점유하게 된다. 이 두 집단은 송국리유적에서 반복적인 점유를 보이다 장방형주거지 집단은 쇠퇴하며, 원형주거지 집단은 금강 상류역과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즉 금강중하류역의 송국리문화는 원형주거지를 채택한, 농경을 배경으로 하는 취락이 중심이라는 기존의 인식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Discussions on regionality of the Songgukri culture began to take off in the 2000s as a large number of historical archaeological sites were discovered. Since then, diversified arguments have been made including a theory of origin, and a common understanding was that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were the center of the Songgukri culture. Specifically, typical settlements that had all unique character of the Songgukri culture and based on rice farming were concentrated in the region.
    However, little concrete examination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have been undertaken, and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cultural character of early Bronze Age as appeared in the region, cultural elements of Songgukri settleme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round and rectangular shaped dwelling.
    Initially, northern part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were inhabited by yeoksamdong and heunamri groups, and later, two different groups that arrived from the west coast through the Seocheon region ―one group that maintained rectangular shaped dwelling although originated from the yeoksamdong group, and another group that adopted new types of dwelling―came to inhabit the region. The two groups repeatedly occupied the Songgukri site. And then the rectangular shaped dwelling group declined, and the round shaped dwelling group spread to the upper reaches of Geum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se findings raise the need to reexamine the current understanding that the Songgukri culture that develop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