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국사 불복장 섬유류에 관한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ied in the Amitabha statue of the Suguk temp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12
28P 미리보기
수국사 불복장 섬유류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1호 / 177 ~ 204페이지
    · 저자명 : 박윤미

    초록

    수국사는 서울 은평구에 소재하는 古刹로서 대웅전에는 阿彌陀佛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2005년 11월에 불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發願文과 改金記와 함께 경전, 다라니, 사리, 저고리 등 다량의 복장품이 발견되어 조사 되었다. 수국사 아미타불좌상은 1239년의 명문에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이 13세기 후반에 조성된 불상이며 1389년과 1562년 두 차례에 개금 중수되었다. 복장물 가운데 납입시기가 분명한 것은 다라니와 후령통으로 불상 조성기때에 납입된 것이고 나머지는 1562년 개금 중수 때의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조사 당시복장물들은 시대의 구분 없이 섞여있었는데 복장물의 경우 이와 같이 여러 시대의 것이 섞여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국사 복장유물 가운데 섬유관련 유물은 발원문, 저고리, 보자기 20점, 직물 11점, 태모시 2점, 명주실꾸리 1점, 삼베실 2점 등이다. 모시나 면의 경우에는 제직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았으므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것을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문양이 있는 紋織物의 경우 직조기법과 문양에 의해 어느 정도 시대구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류의 종류와 특성을 조사하고, 기존에 발굴 조사되었던 직물들과 직조기법, 문양 등을 비교 검토하여 시대를 추정하였다. 수국사 불복장물 가운데 저고리는 모시적삼으로 ‘全氏保体’라는 묵서가 쓰여 있다. 목판깃과 직수의 소매, 그리고 삼각형의 무 등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조선전기 저고리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직물류에서는 동일한 직물이 직물편으로 남아있기도 하고 보자기에도 쓰인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직물류는 동일한 시기에 납입된 것으로 짐작된다. 홍색화문능겹보는 내소사의 자수보(1415년)의 바닥직물과 조직과 무늬의 조형이 비슷하며, 흑색무문라겹보는 파평윤씨(~1566)의 너울과 유사하다. 홍색직은단은 평산신씨(16세기 후반)의 회장저고리 깃의직물과 동일하다. 수국사 복장직물 중 문직물의 문양과 제직특성을 고려하면 1562년에 납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 가운데 홍색운문라와 같이 드문 직물도 발견되었는데 이외에도 길이 639㎝의 삼베, 목화송이, 실꾸리 등 흔치 않은 불복장물이 출현되었다.섬유류의 유물이 존속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기후․환경 조건 등을 고려한다면 수국사 복장직물류는 복식사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직물의 색상이 온전히 남아 있으며 보존상태도 좋기 때문에 당시의 선호색상, 염색, 직조기법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학술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적, 민속적으로 귀중한 유물이다.

    영어초록

    The Suguk temple is an old temple located in Seoul. The Amitabha statue of the Suguk temple has been recorded in 1239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late 13th century, and has been gold-plated again in the years 1389 and 1562. Among the artifact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we know for certain that the dharani where placed there when the Amitabha statue was completed, and the rest of the remai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placed in the statue when during the second gold-plating in 1562. However, the costumes were found to have been mixed disregarding the age when they were excavated. Among the artifacts found in Amitabha statue, the fabric artifacts are the Jeogori, 20 sheets of Bojagi(wrapping cloths), 11 fabrics, 2 raw ramie, 1 silk skein, 2 skeins of hemp thread, etc. The weaving technique of ramie and cotton did not change much throughout the Gory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hich makes it hard to determine whether their ages of the production are during these eras. However, the ages of textiles with motif can be somewhat estimated by comparing the weaving technique and motif.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kinds of fabric artifacts and their distinctive quality, and compared their weaving technique, motif, etc. with other artifacts to estimate the age. The Jeogori found in Suguk temple is a Jeoksam made of ramie, and it has '全氏保体' written in ink. The overall look of the Jeogori showing a square-shaped collar, square-shaped sleeves and the triangle-shaped Moo exhibits the styl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Most of the fabrics seem to be of the same age seeing that same fabric are cut inlittle pieces and used in Bojagi. The Bojagi with yellow flower motif twill shows similar textile construction and patterns of Bojagi in Naesosa(1415), and the black complex gauze is similar to the veil of the Papyeong Yoon(~1566). The red silk with supplementary silver weft threads is the same as the collar textile of the Pyeongsan Shin's of the late 16th century. Considering the patterns and textile characteristics, sati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placed in 1562. The red complex gauze with supplementary gold weft threads is the first of its' kind to have been found in Korea. Considering the climate of Korea and environment which is hard on the durability of fabrics, the fabric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of the Suguk temple are valuable to th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Also, the color of the textile is preserved and condition in which these textiles were found are excellent, which can help identify the preferred color, the dying and weaving techniques and so during that age. This shows profound academic value, with its' high historic and folk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