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提調類관직의 도입과 의미 (Introduction of Jejoryu Offices in Late Goryeo and Its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09
36P 미리보기
고려후기 提調類관직의 도입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27호 / 313 ~ 348페이지
    · 저자명 : 이정훈

    초록

    본 연구는 고려후기에 새롭게 도입된 제조류 관직의 종류 및 기능, 제조류 관직의 도입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실무행정 최고기구인 6부가 각사를 관할하지 못하고 독립구조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려에서는 행정경험이 풍부한 관료를임시로 판사에 임명하여 6부와 각사의 행정업무를 원활하게 처리하도록하였다. 그러나 판사는 항상적으로 설치되면서 녹봉을 받았으며 점차 본직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판사는 그 관직을 설치한 원래의 기능을상실하였다. 고려후기에 들어와 중앙정치기구가 독립적 구조로 운영되는방식이 유지되는 가운데 親朝및 重祚등으로 국왕이 개별 관청을 정상적으로 관할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판사의 본직화는 행정 및국정 운영의 혼란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원에서는 제거․제점․제조와 같은 다양한 제조류 관직이 있었고, 이들 관직들은 특정 업무를 담당하거나 특정 관청의 장관 위에 설치되어그 관청을 관리 감독하였다. 고려는 이러한 제조류 관직에 주목하여, 단계별로 제조류 관직을 도입하였다. 충선왕 복위년 관제 개혁에서는 제거와 제점을 설치하여 신설 및 강화된 창고를 운영하도록 하거나 통․폐합된 관청의 업무를 감독하도록 하였다. 충혜왕 복위년부터는 제조가 도입되어, 점차 판사․제거․제점을 대체해 갔다. 그렇지만 고려시대에는 제조가 판사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조선초기까지 제조와 판사는 병행되었다.
    판사는 6부가 각사를 관할․통솔하지 못하면서 중앙정치기구가 독립적 구조로 운영됨에 따라 생기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었다. 제조가 판사를 대체해 나가지만, 판사에 비해 제조가 설치된 기구는창고․승록사처럼 특별한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에만 설치되었다. 이는 모든 정치기구에 관청의 업무를 감독하고 관료를 관할하지 않아도 되는상황, 즉 관청 간의 통속관계를 지정하여 상위 관청이 하위 관청을 관할․ 통솔하는 구조, 특히 6부(6조)가 각사를 관할․통솔할 수 있는 구조로 정치제도의 운영이 바뀌어감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new jejoryu(diverse controlling department) offices 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jejoryu offic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ix departments, which were the highest administrative bodies of the executive administration in Goryeo, could not control Gaksa(administrative sub-department) and they were operated independently,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rich in administrative experience were temporarily appointed to the Pansa(判事) to smoothly carry out the administrative tasks of the six departments.
    However, the judges were not only set up continuously, but also turned to the regular position receiving the salary. As a resul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judge was lost. In the late period of the Goryeo, while the central political organization was operated in an independent structure, the king was unable to properly control the individual government offices due to Chinjo(親朝) and Jungjo(重祚). In this situation, the regularization of Pansa worsened the confusion in administrative and state situations.
    In the late Goryeo age, the Jejoryu offices of Yuan were introduced in order to replace the Pansa office. Yuan had various Jejoryu offices, such as Jegeo(提擧), Jejeom(提點) and Jejo(提調). These offices were assigned to carry out specific tasks or installed over the ministers of specific offices to supervise them. Goryeo noticed such Jejoryu offices and introduced them step by step. In the reform of the ruling system which King Chungseon carried out at his restoration to the power, Jegeo and Jejeom were installed to operate new or strengthened warehouses or supervise the work of the rearranged administrative offices. From the restoration year of King Chunghye, Jejo was introduced, gradually replacing Pansa, Jegeo, and Jejeom. However, in the Goryeo era, Jejo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Pansa, and the two were concurrently remained till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Pansa was originally set up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hile not ruling and directing the six departments. Though Jejo was to replace Pansa, Jejo was installed, unlike Pansa, just in the offices with special task such as Chango(倉庫) and Seungnogsa(僧錄司). It means that the operation of political system was changing from the structure that one political office had to supervise the tasks of all sub-offices and to control all the officials to the one that the hierarchy of offices were defined and the offices with higher authority managed or controlled those with lower authority - especially, 6 departments(6 Jos) managed or controlled Gak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