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의 인류(人流)와 물류(物流)의 표상정치 (The Representation - Politics of Colonial Korea During the Total War Period: Focused on the Discourse on Flows of Korean Labour Force and Ri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12
43P 미리보기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의 인류(人流)와 물류(物流)의 표상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47호 / 85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수

    초록

    전간기 세계에서 ‘총력전’은, 마치 근래의 ‘세계화’(globalization)가 그러하듯, 하나의 목적인(目的因)으로서 정치적 사회현실을 구성하는 세계관이었다. 총력전론은 제1차 세계대전을 직간접적으로 목격하고 관찰한 일본 군부, 그 중에서도 특히 육군의 소장파 장교들을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확산되었고 새로운 사회의 구성원리로서 격상되었다. 중일전쟁의 발발로 본격화된 총력전, 총동원은 일차적으로는 일본 ‘내지’로 통칭된 자민족의 동원을 의미했지만, 동시에 그것은 ‘식민지제국’ 일본에서의 식민지의 인력과 자원을 동원하는 일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동원이란 결국 사람과 사물의 이동이자 흐름인 바, 제국 일본의 전쟁 국면에서 식민지 조선의 농촌노동력과 쌀은 철도와 선박을 통해 대대적으로 유출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속에서 조선의 노동력과 쌀에 대한 종전의 표상이 크게 일변했다는 점이다. 바꿔 말해, 제국의 식량시장을 교란하고 일본농민의 생존권을 침해하는 요인으로서 평가되어왔던 조선쌀, 농촌에 과도하게 퇴적되어 신음하고 있다는 ‘과잉노동력’ ‘실업인구’의 표상은 이제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전쟁 수행에 필수불가결한 주요자원으로 그 가치가 일변했던 것이다.
    이 지점을 정확히 포착하고 제국 일본의 총력전을 조선의 지위향상의 지렛대로 삼고자 하는 시도가 식민지 조선의 사회과학 아카데미즘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그것은 제국-식민지 관계를 종전의 이분법적 세계관이 아니라 위계적・계서제적 다층구조 속에서 포착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이 담론을 주도한 이로는 경성제국대학 교수 스즈키 다케오와 조선인 전향지식인 인정식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들은 식민지 조선의 인적・물적 자원의 유량, 유속, 유향을 결정지을 국토계획을 둘러싸고 이론적으로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는데, 스즈키가 대륙루트론을 통해 ‘유기적 제국’을 구축하기 위한 선의 네트워크에 착목했다면 인정식은 농업지대론을 통해 ‘유기적 조선’을 구축하기 위한 면과 입체로서의 조선을 부각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총력전기 식민지 조선에서 진행된 인류(人流)와 물류(物流)를 매개로 한 표상정치의 한 양태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the interwar world, ‘Total War’ was a view of the world as well as a purpose constituting the reality of political society, as if it were 'globalization' in recent years. Total war directly and indirectly was witnessed in the World War I and its theory was widely spread around the world. Observing WWI, the Japanese military, especially the young officers of the army, recognized 'total war theory' as the principle constructing the new society. Total war and total mobilization, which became full-fledged with the outbreak of the Japan-China War(1937), not only meant the mobilization in the "inland" of Japanese empire, but also mobilizing people and resources of colonial Korea.
    Mobilization is ultimately the flow of people and things. The rural labor force and rice of colonial Korea flowed out through railways and ships vastly in wartime. The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previous representation of 'labor force' and 'rice' of colonial Korea was changed greatly in the day. In other words, 'surplus labor force' and 'over- producted rice' of colonial Korea that represented as the cause disturbing the empire's food and labor market and evaluated as a factor infringing on the Japanese inland farmers' viability, was re-evaluated as an important resource indispensable for empire' warfare.
    Attempts to take this point as the leverage for improving the status of 'colonial Korea' were raised within the social science academia of colonial Korea. It also meant a shift in think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e and colony from a traditional dichotomous world view to a hierarchical multi-layered international structure. Professor Suzuki Takeo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In Jeong-sik of the converted Korean intellectual led this discourse. However, these showed a subtle difference in theoretical circumstances over 'national land planning' that determined the rate, velocity and trend of flow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Prof. Suzuki focused on the 'network of lines' to build 'organic empire' via the 'continental route theory'. Unlike this, In Jeong-sik highlighted 'Korea as sides and solids' to build 'organic Korea' through 'agricultural areas theory'. This shows one aspect of representation-politics mediated by flow of people and things carried out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total war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