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儀軌>류의 고건축 어휘 해독과 건축 용어 선정 (Olden Architectural Vocabulary Decoding of A Class of UiGwe(儀軌類) and Architectural Terminology Selec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6
42P 미리보기
&lt;儀軌&gt;류의 고건축 어휘 해독과 건축 용어 선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42호 / 231 ~ 272페이지
    · 저자명 : 오창명, 손희하

    초록

    이 연구는 몇몇 의궤류에 나타나는 고건축 어휘의 차자 표기를 올바르게 해독하는 문제와 표준적인 건축 용어 선정에 관한 문제를 아울러 고려하여 쓴 것이다. 또한 차자 표기 중 하나의 표기를 마치 고유어 건축 어휘에 대응하는 한자 표기로 처리한 것에 관한 문제도 함께 논의하였다.
    의궤류에 쓰인 고건축 어휘에 관한 연구는 크게 고건축학계와 국어학계에서 진행해왔는데, 고건축학계의 연구는 차자 표기 해독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심지어는 이러한 것이 사전류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국어학계에서는 고건축학계의 연구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건축학계에서는 국어학계의 연구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듯하다. 더욱이 근래에 의궤류 국역집이 많이 간행되고 있는데, 차자 표기 해독과 해석에 많은 오류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문제다.
    예를 들면 ‘○○具’의 ‘具’를 ‘鐵物’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衝栿’과 ‘衝樑’은 ‘충보’의 차자 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충복’과 ‘충량’으로 읽어버리고 있다. 심지어는 고건축사전과 국어사전에도 ‘衝樑’을 ‘충보’의 차자 표기로 보지 않고, 그냥 ‘충량’이라 하고 있다. 더욱이 ‘衝樑’은 ‘충보’의 차자 표기 중 하나일 뿐인데, 마치 ‘충보’에 대응하는 한자어로 등재한 것은 잘못이다.
    차자 표기 目只ㆍ木妓ㆍ方只ㆍ某叱只ㆍ毛只ㆍ隅只ㆍ隅叱只ㆍ木只 등으로 표기된 부재가 있는데, 이것은 모두 ‘*모>모끼’의 차자 표기인데도, 고건축 어휘 사전이나 국어사전에서는 ‘목지’라 한 경우가 많다. 더욱이 ‘木只’는 ‘*모>모끼’의 차자 표기 중 하나일 뿐인데, 마치 현대국어 ‘모끼’에 대응하는 한자어로 등재한 것은 잘못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잘못 해독하고 있는 어휘와 건축 용어 선정의 잘못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d about problems to detoxify justly a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the olden architectural vocabulary which appeared to a few class of UiGwe. Problem regarding the architectural terminology selection which was standard too discussed. And problem regarding having dealt with one notation by Chinese character notation corresponding to an as if a native tongue architectural vocabulary during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discussed.
    The study regarding a olden architectural vocabulary to have been used for to a class of UiGwe has progressed greatly at an learned circles of olden architecture and learned circles of Korean languages. By the way, the study of an learned circles of olden architecture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to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decoding. These things were reflected even to a class of dictionary, and had a lot of cases. Also, there are a lot of cases to refer to study of an learned circles of olden architecture at learned circles of Korean languages. By the way, there do not seem to be a lot of cases to refer to study of a learned circles of Korean languages at learned circles of olden architectures. Moreover, it is a problem that these days a lot of errors are given to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decoding and interpretation for a class of UiGwe series of translated into Korean to be published very much.
    For example, there is a case to interpret wrong into ‘具[Gu: have]’ of ‘○○具[○○Gu]’ to ‘鐵物類 語彙(metal fittings vocabulary)’. Also, ‘衝栿’ and ‘衝樑’ is in spite of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충보[ChungBo]’, and has read just to ‘충복[ChungBok]’ and ‘충량[ChungRyang]’. Do not see ‘衝樑’ to a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ChungBo’ in olden architectural dictionary and native language dictionary, and the center is just ‘충량[ChungRyang]’ be making. Moreover, ‘衝樑’ having registere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s if ‘충보[ChungBo]’ to be one during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충보[ChungBo]’ in wrong.
    There is the timber which ‘目只ㆍ木妓ㆍ方只ㆍ某叱只ㆍ毛只ㆍ隅只ㆍ隅叱只ㆍ木只’ to a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is is all a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모(Mokki)>모끼(Mokki)’. Nonetheless have a lot of cases to have done that are ‘목지[MokJi]’ at a olden architectural vocabulary dictionary or native language dictionaries. Moreover, ‘木只’ is one during system of transcribing Korean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f ‘*모(Mokki)>모끼(Mokki)’. By the way, what as if registered into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corresponding to modern native language ‘모끼[MoKki]’ wrong.
    Thus, discussed about mistakes of the vocabulary and architectural terminology selection which were counteracting wrong the poison etc. in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