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수 예술: 들뢰즈의 미학과 아르 브뤼 (Minor Art: Deleuze’s Aesthetics and Art Bru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소수 예술: 들뢰즈의 미학과 아르 브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1권 / 213 ~ 238페이지
    · 저자명 : 한의정

    초록

    들뢰즈와 가타리는 타자들을 소수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다수와 소수를 구별한다. 다수는 평가의 기준이 되며 권력과 지배를 갖는 데 반해, 소수는 다수의 기준 밖에서 잠재적인 역량을 갖고 생성과 변화 중인 창조적인 존재이다. 들뢰즈/가타리는 카프카의 문학을 소수 문학으로 간주하고, 그 특성을 세 가지 ―언어의 탈영토화, 정치성, 집단성― 로 형식화한다.
    이 연구는 들뢰즈/가타리가 말한 소수 문학의 특징을 소수 예술로 확장시켜 아르 브뤼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아르 브뤼에 대한 기존의 미술사적 연구, 정신 의학 분야에서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아르 브뤼의 미학적 근거를 제시해주는 것이 될 것이다.
    탈영토화, 정치성, 집단성은 소수 문학을 각각 표현 매체, 사회체, 생산주체라는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었다.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아르 브뤼를 바라보자면, 첫째, 사회체로서 소수자들의 예술로 아르 브뤼를 정의할 수 있다. 장 뒤뷔페가 정의한 아르 브뤼는 정신병동의 사람들, 영매처럼 환각과 환청을 듣는 사람들, 사회소외계층이라 부를 만한 사람들의 창작품을 가리키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둘째, 예술언어의 탈영토화는 표현매체 활용의 특수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르 브뤼 창작자들은 예술을 하겠다는 목적의식 또는 자각이 없는 상태에서 작품을 제작하므로, 그들 작품의 전개방법이나 서술방식은 비논리적이고 몰형식적인 특징을 갖는다. 특히 아돌프 뵐플리의 토탈 아트는 기존의 예술문법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롭게 탈주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셋째, 생산 주체라는 측면에서 아르 브뤼는 소수성의 연대라는 특징을 갖는다. 뵐플리의 독특한 작품세계는 독자적인 주체의 창조행위로 수용된 것이 아니다. 뵐플리를 11년간 관찰하고 기록한 모르겐탈러 박사의 모노그래피가 있었기에, 장 뒤뷔페가 다시 아르 브뤼란 옷을 입혀 대중에게 알렸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들뢰즈는 삶의 권력에서 탈주하여 해방되어 있는 예술을 진정한 예술로 보며, 이것은 소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아르 브뤼는 이러한 생성과 변이의 예술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 소수자들의 예술이며, 그 표현이 기존 예술의 척도와 규범에서 벗어나 탈주선을 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수자들의 작품은 소수자-되기의 흐름과 접속할 때 비로소 저항으로서 예술을 완성한다.

    영어초록

    Deleuze and Guattari explain the others in terms of ‘minority’ and distinguish majority and minority. Majority is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with power and domination. On the contrary, minority, outside the criterion of the majority, has the potential ability to become, to change, and to create. Deleuze/Guattari consider Kafka’s literature as minor literature, and formalize its three characteristics: deterritorialization of the language, the political and the collective.
    This study tries to ext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or literature to the minor art and to apply to art brut. This approach presents a new aesthetic basis to the earlier studies of art history or psychiatry.
    Deterritorialization, the political and the collectiv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or literature, as we look at the minor litera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s medium, socius, subjet of production. As we examine art brut from these three aspects, firstly, we can define Art brut as the art of the minors. Because Art brut defined by Jean Dubuffet is a term indicating the artistic creations of the people in psychiatric hospital, of the medium who can create hallucinations, and of the neglected social groups. Secondly, deterritorialization of the language can be explained by the uniqueness of the expression’s medium. As the creators of Art brut don’t have a sense of artistic purpose nor consciousness of the artistic activity, the process or the methods of description of their work are illogical and informal. In particular, the total art of Adolf Wölfli shows the flow freely escaping from the earlier grammar of art. Thirdly, in terms of the subject of production, Art brut is characterized by the solidarity of minority. Wölfli’s unique art world was not accepted as the activity of one individual. Because of Dr. Morgenthaler who has observed him for 11 years, because of Jean Dubuffet who dressed Wölfli in the clothes of Art brut, the art world of Wölfli has been known to the public.
    Deleuze considers an authentic art as art escaped from the power of life. It can be called a minor art. Art brut can be functional as art of becoming and of transfiguration. Art brut is the art of the minority, and its expression away from the norm of art existing draw the line of flight. However, the work of the minority, only when it connects to the flow of becoming-minor, is completed as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