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동아전쟁기 뤼허뤄(呂赫若)의 작품 속 ‘대지주 가문’의 몰락과 그 환유적 의미 -「財子壽」(1942)와 「合家平安」(1943)을 중심으로- (The Metonymic Meaning of “the Great Family” in Lv He-ruo’s Novels of the 1940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8
35P 미리보기
대동아전쟁기 뤼허뤄(呂赫若)의 작품 속 ‘대지주 가문’의 몰락과 그 환유적 의미 -「財子壽」(1942)와 「合家平安」(1943)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78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신민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42년과 1943년에 각각 발표된 「재자수(財子壽)」, 「합가평안(合家平安)」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뤼허뤄(呂赫若)의 작품 속에 드러난 ‘대지주 가문’의 몰락과 그 환유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들 작품은대지주 집안을 공간적 배경으로 하여 타락과 몰락의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재자수(財子壽)」는 봉건적인 가부장제 질서 아래 불행의나락으로 떨어지는 ‘위메이(玉梅)’의 운명을 보여 준다. 필자는 그녀의 불행이 당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질서 아래에서 고통당하는 대만 여성일반의 불행을 지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아가 중국 대륙과 대만의 관계적 상황에 대한 작가적 진단을 동시에 의미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위메이의 불행을 초래한 ‘진짜’ 원인이 비단 남편의 도덕적⋅성격적 결함에있는 것이 아니라, 집이라는 공간- ‘복수당’의 폐쇄성에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폐쇄된 공간과 그 공간의 일원이 감내하는 불행이, 세계의변화를 읽지 못하고 폐쇄된 대륙 왕조와 그의 대가로 식민지가 된 대만의 운명에 대응된다고 진단한 작가의 시대인식이 숨어 있다고 보았다.
    그런가 하면 「합가평안(合家平安)」은 표면적으로는 아편 흡연으로 전재산을 날린 아편쟁이 대지주의 파산과정을 전면에 내세운다. 그러나 작가의 속내는 아편쟁이 아버지를 바라보는 양자(養子) 아들의 복잡한 심경에 숨겨져 있다. 아들은 호적상의 아버지를 완전히 부정하지 못하면서도, 동시에 ‘새로운/다른’ 아버지의 존재를 모색한다. 본고에서는 ‘아편쟁이아버지’와 ‘양자/고아’라는 알레고리가 결코 단순하지 않다고 보았다. 이것이 아편으로 몸살을 앓으며 파산으로 몰린 무력한 중국 대륙과 그 대륙을 조국(祖國)으로 상상했던 대만이라는 구도를 암시한다고 생각되기때문이다. 양자/고아 아들은 호적상의 아버지로부터 달아나고 싶은 한편, 새로운/다른 아버지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한다. 양자/고아 아들의 욕망은대동아전쟁기 대만의 젊은이들에게 남방/남양이 새로운 가능성과 유혹의공간으로 받아들여지면서 ‘기꺼이’ 그곳으로 향하기를 원했던 모습과도연동된다. 이처럼 뤼허뤄는 전쟁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서 「재자수(財子 壽)」, 「합가평안(合家平安)」 등의 작품을 통해 급박하게 변하고 있던 세계정세와 대만공동체의 운명, 그리고 중국/대륙에 대한 작가의 복잡한 심정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In 1942 and in 1943, Lv He-ruo published Jaejasu (財子壽) and Hapgapyeongan (合家壽安), respectively.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fall of the “the Great family” and its metonymic meaning. Jaejasu shows the unfortunate fate of ‘We-mei (玉梅)’ in the feudal patriarchal order.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author’s judgment about mainland China and Taiwan, as well as the misfortune of a Taiwanese woman who suffered under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order at the time. This is because the ‘crucial’ cause of the misfortune of We-mei is not attributed to her husband’s moral defects, but to the closedness of “the Great family”. In other words, Lv He-ruo thought that China was not aware of the changes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and did not interact with other countries, thus resulting in Taiwan falling into a Japanese colony.
    And on the surface of Hapgapyeongan, the bankruptcy process of the opiate father is an important story. However, the author’s intention is in the complicated mind of his adoptive son who looks at his father addicted to opium. The son cannot ignore his opiate addict father, at the same time seeks the existence of a “new/another” father. This is interpreted as implying the composite situation of the helpless mainland China, suffering from opium and was bankrupt, and Taiwan which imagined that continent as their homeland. The adoptive/orphan son wants to get away from the opiate addict father on one hand and wants to be recognized by the new/another father on the other hand. The desire of the adoptive/orphan son is similar to what Taiwanese young people wanted to head to ‘the South’ during the Great East Asian War.
    In the middle of the war, Lv He-ruo revealed the fate of the Taiwanese community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s of the world, and the artist’s complex feelings about mainland China through works such as Jaejasu and Hapgapyeong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