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혼종: 『말레우스 말레피카룸』과 16-17세기 마녀사냥을 중심으로 (Hybridity of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 Focusing on Malleus Maleficarum and witch-hunting during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5
32P 미리보기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혼종: 『말레우스 말레피카룸』과 16-17세기 마녀사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모미그란스-이주, 식민주의, 인종주의 / 18권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오의경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에서 찾을 수 있는 마녀개념의 엘리트-민중문화혼종적인 특징들을 밝혀내고, 이러한 문화혼종이 16-17세기 마녀사냥의 지적기반에 끼친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16-17세기는 잠시 소강되었던 마녀사냥이 다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시기로, 이 시기에 마녀사냥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는 크게 지적, 법적, 사회경제적, 종교적 변화를 들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원인들을 근거로 마녀사냥을 엘리트문화에 의해 발생한 민중 억압 정책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수가 많은 것은 아니나, 민중문화의 독자적인 영역을 인정하고 이에 주목하여 마녀사냥을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도 존재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어느 한 쪽의 문화가 우세했다는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하여, 두 문화가 혼종되는 가운데 새로운 마녀담론이 재생산되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하는 과정에 주 사료로 사용한 것은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이다.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은 16-17세기 마녀사냥의 지침서로 사용되었던 유명한 저서로, 이 시기 마녀담론을 살펴보기에 매우 용이하다.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은 다른 악마학저서들과 달리 당대 엘리트들이 인정하지 않았던 민중신앙을 기반으로 마녀와 악마 사이의 연결성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마녀사냥을 이끌었던 지적기반이 어느 한쪽의 문화에서만 비롯된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에 의한 문화혼종을 통해 형성되었다는 점은 마녀사냥이 지배층에 의한 피지배층 억압 방법이라는 단순하고 오래된 틀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돕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상당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convincing features of the cultural hybridity that surrounds the concept of witch which is mainly found in Malleus Maleficarum and to confirm that the cultural hybridity influenced afterwards on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witch-hunting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the witch-hunting reached its peak because of the huge change of intellectual, legal, social and economic areas as well as that of religion. There have been not a few approaches insisting that witch-hunting was one of the powerful ways of oppression from the ruling class, while some other ones attempting to interpret it in the public culture based view. This study, however, aims to interpret the witch-hunting issue in view of cultural hybridity, which means that the concept of witch was developed not just from either the ruling class or the public culture only but it was actually regenerated from a convincing interaction between the two cultures.
    This study has, as a main reference, Malleus Maleficarum, a famous textbook for witch-hunting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Mallues Maleficarum noticed the link between devil and witch in view of popular belief, which was not affirmed by elite 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 base cam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ite class and the popular class helps to avoid the narrow old frame that the witch-hunting was just a way of oppression from the ruling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모미그란스-이주, 식민주의, 인종주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