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알파룸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Alpha Room in Apartment according to Lifestyl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8
12P 미리보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알파룸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263 ~ 274페이지
    · 저자명 : 강수영, 장주영,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아파트 알파룸은 초반에는 자투리 수납공간 정도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2010년 이후 과감한 가변형과 옵션형을 통해 아파트 수요자에게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작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아파트 알파룸의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아파트 평면설계에서 알파룸 적용에 대한 전략적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라이프스타일과 현 주거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아파트 알파룸에 대한 선호도 및 중요도에 관한 문항을 구성하여 약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90%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주로 24-34평에 거주하고 있었다. 또한 선호하는 주거형태는 관리의 용이성으로 84.2%가 아파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거주공간의 불만족 사유로 수납공간의 부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공간 또한 수납공간과 욕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알파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거실과 주방 안방근처를 알파룸 위치로 선호하였으며, 선호유형은 수납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재형과 주방강화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호하는 알파룸의 개수와 위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편의와 가족중심의 생활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가질 경우 거실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보다 큰 거실공간의 활용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알파룸에 대한 요구도 및 공간구성은 실용성과 함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파트 설계에서 알파룸적용에 대한 디자인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알파룸 설계에서 무엇보다 실용적 측면의 고려가 필수적이다. 다만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알파룸의 위치 및 활용에 대한 수요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서 건설사의 평면계획에 무엇보다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실질적 고려가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알파룸의 목적성과 알파룸의 설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옵션화의 필요성 및 입체적인 공간 해석 및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알파룸이라는 제한적 공간을 넘어 아파트 구조 설계에 있어 전체적인 가변화와 옵션화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itially, the alpha room in apartments was conceived as additional storage space, however, since 2010, it has evolved to become a significant factor for apartment consumers due to its various options and configuration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trategic design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alpha rooms in future apartment floor plans based on a survey of apartment alpha rooms' preferences in accordance with changing lifestyles. (Metho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questions related to lifestyle, housing satisfaction, preference for apartment alpha rooms, and their perceived importance were organi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wo-week period. (Results) Firstly, over 90% of the study subjects lived in apartments, mainly in 24-34 pyeong. The most preferred housing type was that which emphasized ease of management, with 84.2% favoring apartments. In addition, the lack of storage space was the most common source of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living arrangements. Notably, storage spaces and bathrooms receiv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ings.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ubjects' preferences for alpha room utilization, participants showed a preference for locating these rooms in the living room and kitchen areas. Storage functionality was the most desired, followed by study-oriented and kitchen-reinforcement configurations. Thir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location of preferred alpha rooms according to lifestyle. Those inclined toward convenience and a family-oriented lifestyle exhibited a preference for larger living room spaces and integration with the living area. In other words, the demand for the alpha room and the spatial composition differed according to lifestyle along with practicality. (Conclusions) Drawing from the aforementioned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design guidelines for the incorporation of alpha rooms in future apartment design as follows. Foremost, practical consideration is essential in alpha room design. However, given the considerable variance in demand for alpha room location and utilization based on lifestyle, accurate understanding and practical consideration of users should take precedence in the construction company's planing. Furthermore, the purpose and design of the alpha room should harmoniously converge and be applied. Consequently, a range of options and a three-dimensional spatial analysis and configuration will be necessary. Beyond the spatial limitations of the alpha room, overall variability and customization are needed in the design of apartment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