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계몽의 시각에서 본 이광수와 뤄자룬의 소설 -「소년의 비애」와 「사랑인가 고통인가」를 중심으로 (A novel by Lee Kwangsoo and Luo Zarun from the Viewpoint of Enlightenment to Women -centering on Young Man's Grief and love or pai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8
27P 미리보기
여성계몽의 시각에서 본 이광수와 뤄자룬의 소설 -「소년의 비애」와 「사랑인가 고통인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5호 / 345 ~ 371페이지
    · 저자명 : 오혜영

    초록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과 중국은 일본제국과 서구열강의 침략에 의해 역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외세의 침입과 수탈은 두 나라에 극심한 타격을 안겨주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국 사회의 근대화를 가속시키는 것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민족의 수난과 서구 문명의 충격, 이중적 영향을 동시에 받은 당대 새로운 지식인들은 나라의 근대화와 민족 계몽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이로 인해 양국 문학은 근대 계몽주의라는 특수한 시기에 들어서게 되었다.
    당시 양국 계몽주의 작품은 봉건제도에서 억압받고 있는 민중들을 가르치고 일깨우려는 요지로 창작된 교화적인 성격을 지닌 문학작품이다. 그러므로 인구의 반을 차지하고 있지만 봉건제도에서 ‘타자화’된 여성들도 자연적으로 계몽주의 작품이 주목하는 사회집단이 되었다. 이 시기에 ‘여성해방론’은 계몽주의자들에 의해 언급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계몽주의 이론이다. 여성을 봉건적인 제도로부터 해방시키고, 여성에게 남성과 동등한 교육의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은 봉건적인 제도를 비판하고 사회의 근대화를 이끌어가겠다는 계몽주의적인 사상에서 파생된 것이다. 즉 계몽주의자들에 의해 제창된 ‘여성해방’은 결국 여성주의의 시각으로만 볼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고는 20세기 초 한중 계몽주의 문학에서 주목하는 여성문제를 단순한 여성주의 시각이 아닌 여성계몽에 관한 문제로 살펴보려고 한다.
    이광수(1892-)의 「소년의 비애」(1917.6)와 뤄자룬(羅家倫, 1897-)의 「사랑인가 고통인가」(「是愛情還是苦痛」, 1919.3)는 봉건제도를 비판하는 동시에 여성을 계몽의 대상으로 여긴 대표적인 계몽주의 단편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광수의 「소년의 비애」와 뤄자룬의 「사랑인가 고통인가」를 여성계몽의 시각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두 작품은 남성 지식인의 시각에서 전개되며, 가족제도 속에서 파괴되고 억압받는 개인의 삶과 여성이 그러한 사회 속에서 맞이하는 비극적인 운명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이광수는 「소년의 비애」에서 난수라는 과거지향적인 여성을 형상화해 내면서, 봉건적인 특징과 근대적인 특징을 겸비한 과도기적인 여성 인물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인물을 통해 작가의 여성계몽에 대한 진화론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뤄자룬은 「사랑인가 고통인가」에서 우수잉이라는 이상적이고 허구적인 인물을 형상화하여, 작가가 여성해방에 대한 과감하고 혁명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Korea and China were forced into a historical turning point by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Empire and Western powers. Foreign invasions and extortion have sent shockwaves through the two countries, but on the other hand, they have made indirect contributions to accelerating the modernization of both societies. Enlightenment literature began to emerge from the dual background of the shock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country. At that time, The development of modern literature in the modern era was the first time that the young people had studied Western knowledge.It is mainly based on criticism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ions, and the aim of promoting modern advanced culture is to criticize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ions.ChImonIsts are always standing on education and leading the people's position to create their own work.For them, women who have been tortured and persecuted under feudal systems are the main groups of concern.This means that the women's liberation banner, which they raise, can not be confused with feminism. Women are encouraged to free themselves from the feudal system and to allow women to accept equal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modernization of society. In particular, if you look at enlightened litera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Lee Kwangsoo's Young Man's Grief and Luo Zarun's Love or Pain, which were published in late 1910, are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Starting from this point in the school, we will look at the works of Lee Kwang-soo's Young Man's Grief and Luojarun's Love or Pain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enlightenment. These two works, as enlightened novels, clearly demonstrated the tragic fate of male intellectuals, namely how feudal family systems destroy and suppress people's lives in the eyes of the author, and traditional women in them. In Young Man's Grief the author also showed a transitional female figure standing between feudal and modern features, and through these characters the writer showed an evolutionary attitude toward female enlightenment. And Love or Pain shaped the ideal fictional new woman figure of Wu Shu-ying, showing the author's bold and revolutionary attitude toward women's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