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잠의 요정, 샌드맨의 변형: 꿈의 수호신에서 악몽의 괴물로 - H. C. 안데르센의 「잠의 요정 올레 루코이에」와 E.T.A. 호프만의 「모래사나이」를 중심으로 (The Transformation of the Sandman: From Guardian to Monster -A Comparison of E.T.A Hoffmann’s Der Sandmann and Andersen’s Ole Lukøj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잠의 요정, 샌드맨의 변형: 꿈의 수호신에서 악몽의 괴물로 - H. C. 안데르센의 「잠의 요정 올레 루코이에」와 E.T.A. 호프만의 「모래사나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48호 / 15 ~ 44페이지
    · 저자명 : 구연정

    초록

    ‘샌드맨’은 북유럽 게르만 지역 민담에서 시작하여 동화와 소설로, 또 기술영상시대에는 애니메이션과 그래픽 노블, 최근에는 할리우드 영화 및 넷플릭스 드라마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화권에서, 또 여러 매체로 폭넓게 수용, 재창작되고 있다. 아쉽게도 그 원형이야기는 남아 있지 않지만, 아이들의 잠의 수호신으로서 샌드맨에 대한 기록은 독일어권 문헌에 남아있다. 흥미로운 것은 민담의 ‘샌드맨’ 단초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서사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E.T.A. 호프만의 「모래사나이」 및 안데르센의 「잠의 요정 올레」에서 샌드맨 캐릭터는 민담과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아이들에게 친근한 동화적인 성격에서 어둡고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호러적 존재로 양극화된 것이다. 이 두 작품은 이미 ‘샌드맨’ 캐릭터의 변화가능성을 매우 폭넓게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후에 씌어지거나 제작된 ‘샌드맨’ 동화 및 콘텐츠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전승에 따른 샌드맨의 원형 캐릭터를 확인하고 전래하는 캐릭터에 가장 근접하다고 할 수 있는 안데르센의 샌드맨과 그와 가장 다르다고 할 수 있는 호프만의 샌드맨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면서, 오늘날 아이들의 꿈을 지켜주는 수호신에서 죽음과 악몽의 괴물로 변형되는 양상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Sandman, a folklore figure rooted in European culture,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reimagined across various cultures and media. From fairy tales and novels to animations and graphic novels in the age of audiovisual technology the Sandman has remained a prominent motif. More recently, it has been popularized through Hollywood films and Netflix series, gamering widespread acclaim. While the original folklore narrative is lost, records of the Sandman as the guardian of children's sleep persist in German-speaking literature.
    Interestingly, in E.T.A. Hoffmann's Der Sandmann and Andersen's fairy tale Ole Lukøje-the first narrative works based on the "Sandman" motif-the character exhibits a stark duality. It ranges from a children-friendly, benevolent figure to a dark, fearsome entity. These two works have already shown the Sandman’s potential for dramatic transformation. They seem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subsequent adaptations and reinterpretations of the character in fairy tales and other media.
    This paper first illuminates Sandman’s original characterization in folklor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t then examines the contrasting narratives of Andersen's Sandman, who closely aligns with the traditional guardian figure, and Hoffmann's Sandman, who represents a terrifying embodiment of death and nightmar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trac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andman from a protective deity of children’s dreams to a monstrous symbol of fear and dark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