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독의 ‘다시 쓰기’와 끝나지 않는 비애와 분노 — 루쉰의 「고독자」(1925), 박연희의 「고독자」(1955), 다케다 다이준의 「소리 없는 남자」(1954)를 중심으로 (‘Rewriting’ of Loneliness and Endless Sorrow and Rage: Focusing on Lu Xun’s “The Misanthrope” (1925), Park Yeon-hee’s “The Misanthrope” (1955), and Takeda Taijun’s “The Silent Man” (1954))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2
36P 미리보기
고독의 ‘다시 쓰기’와 끝나지 않는 비애와 분노 — 루쉰의 「고독자」(1925), 박연희의 「고독자」(1955), 다케다 다이준의 「소리 없는 남자」(1954)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6권 / 1호 / 361 ~ 396페이지
    · 저자명 : 김진규

    초록

    이 논문은 루쉰의 「고독자」가 1950년대 중반 박연희의 「고독자」와다케다 다이준의 「소리 없는 남자」로 다시 쓰이는 과정을 고독자의 특성, 고독자가 세계와 불화하는 원인, 고독자와 그의 내면이 서술된 ‘편지/책’을 읽는 관찰자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살핀다. 지식인이자 혁명가인 루쉰의 ‘고독자’가 절망하는 원인은 각성되지 않은 군중 때문이며, 그가 군벌의 고문이 되는 것은 곧 자기 자신과 군중에 대한 복수가된다. 혁명에 대한 ‘고독자’의 진정성 자체가 의문의 대상이 되지 않는사실, 다시 말해 자신의 이념과 신념에 대한 배신이 ‘공리성’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박연희와 다케다 다이준이 왜 루쉰의 작품 속비애와 분노에 공명하면서 동시에 부끄러움을 느꼈는지를 설명해준다. 박연희와 다케다 다이준의 텍스트는 루쉰의 「고독자」를 바탕으로 일제말기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이어지는 부끄러움과 절망을 조명한다. 웨이롄수의 전향과 달리 학남 선생에게 ‘공리성’은 중요한 문제이다. 전향한 사회주의자 학남 선생은 전향 이력 때문에 정치 참여에 대한 열망을 억누른다. 반공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국민’을 형성하던 ‘전향 공간’에서 그는 스딸린의 죄악사란 일종의 ‘양심서’를 작성한후, 그것이 자신의 공명과 이익 추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을 ‘권’으로부터 확인받고자 한다. 하지만 곧이어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전향의 진정성 문제는 철저히 무의미한 것이 된다. 학남 선생에게서 희망을 찾으려 했던 ‘권’의 노력이 수포가 됨으로써 ‘권’의 울부짖음은 어떠한 희망도 낳지 못한다. 다케다 다이준의 ‘고독자’는 언론인으로 앞의 두 사람에 비해 군중에 가까우며 사회 변혁과 거리가 멀고, 주위 사람들로부터 철저히 고립된 인물이다. 전시 군국주의에 굴종했던 우오즈는 1950 년대 반전과 평화를 위해, 개개인의 비애와 분노를 ‘일본인’의 이름으로 전달하는 것이 갖는 폭력성을 인식하며 다시 고독과 절망에 빠진다.
    루쉰의 텍스트와 달리 박연희와 다케다 다이준의 텍스트는 군국주의와식민지 지배의 유산과 미군 진주, 한국전쟁 등 냉전질서 아래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이 느끼는 출구 없는 절망과 고독을 그린다. 하지만 이후두 작가의 루쉰 수용은 다른 텍스트를 통해 다양하게 전개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in which Lu Xun’s “The Misanthrope” was rewritten in the mid-1950s as Park Yeon-hee’s “The Misanthrope” and Takeda Taijun’s “Silent Man” based on ‘the nature of the Misanthrope’, ‘the cause of the conflict with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santhrope and the observer’. Lu Xun’s Misanthrope, the intellectual and revolutionary, was despairing because of the imbecilic mob, and his becoming an adviser of warlord meant revenge for himself and the mob.
    The texts of Park and Takeda illuminate the shame and despair that led to the post-World War II period from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based on Lu Xun’s “The Misanthrope”. The turned socialist, Hak-Nam, suppresses the desire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ecause of his shameful career history. In the ‘conversion period’, when the ‘the national people’ were formed on the basis of anti-communism, he would like to be confirmed by Kwon that he wrote Stalin's Crime History, a kind of “statement of consciousness”, without pursuing his own profit. However, it was meaningless whether the genuineness of the conversion was due to the Korean War that broke out soon. Takeda’s misanthrope is not social reformers but pliable journalists and is thoroughly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people. Uoz, who had been subservient to the totalitarianism in the war period, fell into total loneliness and despair, after recognizing the violence of tying the Japanese together even on the basis of sorrow and anger caused by the war. Although it aimed at anti-war and peace, it was also a kind of nation-buil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