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성의 시대가 만든 사진그림엽서 경회루의 서사와 표상-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The narrative and landmark of Gyeonghoeru Pavilion postcard in the Gyeongseong era-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middleof the 20th centur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0
46P 미리보기
경성의 시대가 만든 사진그림엽서 경회루의 서사와 표상-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09호 / 251 ~ 296페이지
    · 저자명 : 김경리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의 정원이 일제 강점기에 관광지가 되어버린 경회루 사진그림엽서를 통해 경성의 ‘시대’ 구분을 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선의 수도 한성은 일제 강점기에 경성이 되면서 격렬한 시대사적 서사를 갖는다. 19세기 말 다양한 서양인이 외교 공무, 교육, 의료, 종교, 여행 목적으로 조선을 방문했고 조선 전반에 관한 개인적 경험을 텍스트로 발간했다. 그들의 눈에 비친 조선은 자신들과 다른 외모와 생활풍습에서 보여지는 “색다름”이었다. 그러나 식민지 본국 제국 일본은 식민의 영토라는 장소에 더 큰 의미를 두었다. 이민과 식민, 사업과 교육 시찰단, 단체관광을 홍보하기 위해 생산한 다양한 시각 정보 그중 엽서는 리터러시 취약 층과 언어가 다른 식민지의 대중의 정보 전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인, 재조 일본인과 조선인, 외국인들의 이주와 정주가 혼재된 경성, 그중 경회루는 국가의 각종 행사, 군대와 관광단 환영회, 민간단체 행사의 개최 장소로 활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경회루는 ‘유희’와 ‘명랑’,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소비 공간이자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체성이 발현되는 장소로 기능하였다. 그중 공원으로 강제 개방된 경회루는 남대문과 광화문처럼 이동 과정의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라 건물과 주변 환경을 모두 체험할 수 있는 엽서 상품으로 대량생산되었다. 그리고 그 이미지들은 약 10~15년간의 시대적인 변화를 보여주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서양인이 본 자연과 어우러진 경회루의 모습, 둘째, 1905~1914년은 연못의 정비 기간과 조망 시선의 변화, 셋째, 1915~1928년은 조선물산공진회와 조선부업품공진회를 통한 연못의 완전 정비, 쌍탑과 광화문 이전, 넷째, 1929~1945년은 조선박람회를 기점으로 목교와 기생의 등장, 다섯째, 왕의 공간이 열린 대중공간으로 바뀌면서 각종 박람회와 관광 기념 스탬프로 활용되었다. 그만큼 경성 ‘시대’를 가장 많이 보여준 경회루 이미지는 제국 일본이 철저하게 ‘만들어낸’ 랜드마크로 활용되면서 경성의 변화하는 ‘시대’를 특정적인 요소로서 보여주고 있다. 가장 ‘인기있는’, ‘가장 잘 팔리는’ 사진이 다양한 시각 자료에서 교차로 복제, 모사되었기 때문에 향후 이미지 연구에서 발행일이 있는 텍스트의 이미지도 반드시 교차 확인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whether it is plausible to discern specific periods with postcards displaying Gyeonghoeru Pavilion, a sightseeing place under Japanese rule, which was initially served as a garden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capital city, Han Sung, in the Joseon dynasty, had intense historical narrative as it became to be Kyung Sung in the colonial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many Westerns visited Han Sung with various purposes such as public affair, education, medicine, religion, and tour. They unveiled personal experiences about the overall aspects of the Joseon dynasty by writing a travel essay, which played a role in publicizing Joseon over the world. Difference was a definite keyword of the essays. However, the Empire Japan put more weight on recognition that Joseon was a colonialized territory. Japan mass-produced visual images such as photo album, postcard, and pamphlet to attract people with low literacy and Japanese in the promotion of immigration, colonialization, business and education inspection team and group tour ; the photo postcard was the most popular.
    Gyeongseong was a complicated place where the immigration and settlement of Japanese settlers in Joseon and people residing in Japan, the elite, and foreigners were mixed up. Especially, various national ceremonies, welcoming party for army and tour groups, and private events were held in the Gyeonghoeru Pavilion.It was a cultural consumption place to convey experiences of joy, excitement, and euphoria as well as to demonstrate the cultural identity of Japanese people. Compared to Namdaemun and Dongdaemun exhibiting only the movement process, it gave a chance to experience the whole building ; therefore, photo postcards displaying the Gyeonghoeru Pavilion were mass-produced. Importantly, those images on the postcards revealed historical changes over 10-15 years.
    Firstly, in the early 1900s, it came with the image of natural environment around the Gyunghoeru Pavilion in foreginers’ eyes. Secondly, from 1900 to 1914, it presented the maintenance period of a pond. Thirdly, from 1915 to 1928, the full repair of the pond and the transportation of a pagoda stone in Buddhism were shown through th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of 1915 and the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of 1923. Fourthly, it represented the emergence of a wooden bridge and Gisaeng and ceremonial stamps from 1929 to 1945. Lastly, it was used as a landmark in expositions as it turned from a secret place to a public space.
    The most popular and sold photos were actively used in making of postcards and were also copied and imitated in newspapers, photo albums, and travel essays. All in all, the image of the Gyunghoeru Pavilion, which displayed the Gyeongseong era frequently, unveiled the characteristics of a changing era as it was utilized as a thoroughly fabricated landmark by the Empire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