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뇨병성 혈액투석 환자에서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과심혈관 사망률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Vascular Access Failur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Diabetes Mellitu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3.08
8P 미리보기
당뇨병성 혈액투석 환자에서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과심혈관 사망률과의 연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22권 / 4호 / 397 ~ 40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옥, 윤선애, 송호철, 허기훈, 양철우, 진동찬, 김용수, 김석영, 최의진, 장윤식, 방병기

    초록

    배 경:당뇨병성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동정맥루 기능부전이 흔하게 발생하는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동정맥루 수술부위의 혈관 상태 불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당뇨병성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동정맥루 기능부전이 심혈관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보고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당뇨병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과 심혈관계 사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방 법: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에서 동정맥루 수술을 시행 받은 당뇨병성 신부전증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1년 이내에 발생한 동정맥루 기능부전을 조사하고 2002년 12월까지 심혈관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를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군과 개존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에 심혈관계 사망률을 Kaplan-Meier 방법과 log 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심혈관계 이외의 사망과 추적 관찰 소실은 censored data로 처리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8±11세이었고 남자는 57명 (39.6%)이었다.
    결 과:전체 144명 환자 중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은 68명에서 발생하였다 (47.2%). 32±20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심혈관 사망은 62명 (43.1%)에서 발생하였다.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군 (n=68)의 추적 관찰기간은 개존군 (n=76)에 비해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짧은 경향을 보였다 (29±17 vs 35±22개월, p=0.07).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조기 기능부전군은 개존군에 비해 급성 심근경색증 (13.2% vs 3.9%, p=0.044), 울혈성 심부전증 (70.5% vs 13.1%, p< 0.001), 말초동맥질환 (20.5% vs 3.9%, p=0.002)의 발생빈도가 각각 높았다. 조기 기능부전군의 심혈관 사망률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3년; 54.6% vs 24.6%, 5년; 77.0% vs 42.3 %, p=0.005).
    결 론: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당뇨병성 신부전증 환자에서 동정맥루 조기 기능부전은 심혈관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Although the exact mechanism in which vascular access failure frequently occurs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s not well known, it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oor quality of the vessel at the vascular access operation sites. Therefore, vascular access failure may b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diabetic patients, but it is not reported yet. We studied the impact of early vascular access failure on the cardiovascular morbidity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144 patients who received vascular access operation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0 at Uijongbu St. Mary's Hospital. We investigated vascular access failure within 1 year after the access operation and evaluated the cardiovascular death until December, 2002. We analyzed the cardiovascular mortality between early vascular failure group and patent group using Kaplan-Meier method and log rank test.
    Results: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8±11 years and the number of male was 57 (39.6%). Early vascular access failure developed in 68 patients (47.2%). During 32±20 months of mean follow-up period, there was 62 cardiovascular deaths. The follow-up period tended to be shorter in the access failure group (n=68) than the patent group (n= 76) (29±17 months vs 35±22 months, p=0.07). But the access failure group had higher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13.2% vs 3.9%, p=0.044), congestive heart failure (70.5% vs 13.1%, p<0.001),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20.5% vs 3.9%, p= 0.002), compared to the patent group. The cardiovascular mortality of the access failur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atent group (3 year; 54.6% vs 24.6%, 5 year; 77.0% vs 42.3%, p=0.005).
    Conclusion:This data suggest that early vascular access failure is associated with the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