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소설의 성공과 풍자 형식의 실패 -이인직의 『혈의 루』와 『은세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rial novel and satirical novel in Lee In-Jik's literary works -focusing on 「Tears of Blood」 and 「the World of Silv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새로운 소설의 성공과 풍자 형식의 실패 -이인직의 『혈의 루』와 『은세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권 / 253 ~ 280페이지
    · 저자명 : 김남혁

    초록

    이 논문은 이인직의 대표적인 소설인 『혈의 루』와 『은세계』를 각각 연재소설이라는 형식과 풍자 기법에 주목해서 읽어보았다. 『혈의 루』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대개 이 소설이 장편 소설이기 이전에 신문 연재소설이었다는 당연한 사실을 주목하지 않았다. 당시 이인직 소설을 대면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것은 『혈의 루』에 내장되어 있는 신문명에 대한 견해나 이것을 표현하는 부속국문체만이 아니었다. 매일매일 발표된 이야기들이 연결되어 장편 분량의 소설로 완성되는 과정 그 자체가 당시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형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새로운 특성은 연재소설의 작가가 이율배반적으로 보이는 이중의 제약을 무사히 완수할 때 비로소 성공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일차적으로 연재소설의 작가는 매일 비슷한 분량의 서사를 발표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단지 분량의 제약에 있지 않다. 일 회 서사 분량 안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완결시키면서 동시에 다음 회 이야기에 대한 독자의 기대를 이끌어내야 하는 이율배반적인 특성에 바로 연재소설만이 지닌 새로움이 담겨 있다. 이른바 ‘연관 속 단절’의 실현 여부가 연재소설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기준이 된다. 이인직의 『혈의 루』는 독자와 등장인물 간의 정보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재소설의 ‘연관 속 단절’의 특징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심지어 이인직은 연재소설을 단행본으로 묶는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수정하고 있는데, 이는 이인직이 연재소설과 장편 소설의 미학적 특성을 다르게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러나 소설의 새로운 기법과 장르에 대한 뚜렷한 미적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던 이인직이지만 현실 세계에 대한 그의 인식은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이는 이인직이 풍자라는 형식을 소설에 도입하여 사유를 전개시키는 『은세계』를 통해 증명된다. 풍자는 풍자 주체와 풍자 대상 사이에서 교묘한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심지어 완벽한 균형을 이룬 작품이라 하더라도 의도와 다르게 독자에게는 지적 쾌감만을 전달해 줄 수 있기에 문학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기법이다. 이인직의 『은세계』는 풍자 주체가 풍자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는 착각을 불러오게 하여 문학 비판의 복합적 시선을 잃고 있다. 한편 이러한 풍자 기법은 흥미롭게도 소설의 문장 차원에서도 시도되는데, 이인직 소설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대칭 구조의 복문은 아쉽게도 오로지 이분법적 판단을 실현하도록 만든 데 조력한다. 이처럼 『혈의 루』와 『은세계』를 꼼꼼히 읽는 과정을 통해 이인직 소설의 미적 새로움과 그 한계를 살펴보는 게 이 논문의 목표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trial for understanding serial novel and satirical novel in Lee In-Jik's literary works. Especially, this article analyzes his two novels 「Tears of Blood」 and 「the World of Silver」. There are two reasons why this article covers these texts. First of all, this writing departs from the simple fact that 「Tears of Blood」 is a serial story in newspaper. It is a well-known fact to every researcher of the korean literature, but this common sense makes everyone overlook this fact. Advanced researches usually analyzed 「Tears of Blood」 not as a serial novel but as a novel. Such researches knew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novels but they did not investigate the aesthetic value of that difference. The serial novel has a special function as compared with a novel. When novelist writes a serial story in newspaper, he finds himself in an antinomic situation. The story should be expressed each day in the limited section of newspaper but that finished story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next story which will be published tomorrow. So serial novel has a lot of partial stories and each part has not only the self-sufficiency but also the connectivit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serial novel while each story of the day is being published serially in a daily newspaper depends on its antinomic feature. Lee In-Jik excellently actualized these aesthetic antinomy by adjusting amount of information which lies between readers and characters. For example, readers well know all the situation more than characters can recognize in the uncivilized city(Pyongyang-story). On the contrary, readers and protagonist do not well know circumstances more than civilized people in the story can recognize in the civilized city(Japan-story, USA-story). Thus, controll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gives the daily published story both completeness and expectation. Second reason for researching Lee In-Jik's literary works is in the fact that his aesthetic interest leads to a satirical attitude. However his satire did not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blamer and the blamed. It is the very weak point of satire that man who blames others easily misunderstands himself as innocent person. 「the World of Silver」 is the typical satirical novel of all Lee In-Jik's literary works, but it does not overcome the satirical defect. Such a weakness results from his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e looks upon the world as a dichotomy between civilized country and savage country. In 「the World of Silver」, he combines dichotomy with satire. Subject of satire is always on the side of the civilized country but object of satire is on the opposites side. This rule remains unchanged throughout the novel 「the World of Silver」. This study is written for such two reasons, and following conclusion can be accepted : Lee In-Jik succeeded in creating a new novel, but failed to find the balance point of satire. Hidden behind the success of 'New-style roman' is the failure of satirical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